뷰페이지

교회 권력에 맞선 13명의 ‘이단 철학자 ’

교회 권력에 맞선 13명의 ‘이단 철학자 ’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8-02-02 22:48
업데이트 2018-02-03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성한 모독자/유대칠 지음/추수밭/332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책의 제목을 잘 봐야 한다. 신성 모독자가 아니라 신성‘한’ 모독자다. 중세 성직자에겐 ‘신성을 모독한 자들’이었으되, 후대에 진리를 지킨 순교자로 기려진 인물들을 다룬 책이다. 지성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위험한 인물로 속박받았던 ‘이단의 철학자’ 13인의 일대기를 담고 있다.

책에 나오는 이단아 몇몇은 익숙하다. 예컨대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외쳤다가 교회에 미운털이 박혔고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고 했다가 홍역을 치렀다. “나는 이미 충분히 성스럽다”고 꼿꼿하게 외쳤던 스피노자 역시 호되게 당했다.

책엔 이들 외에 귀에 덜 익은 이들도 등장한다.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아일랜드)는 “천국은 모두의 것”이라고, 조르다노 브루노(이탈리아)는 “모든 존재는 신성하다”고 주장했다. “날 찢어라. 그러나 진리는 찢어지지 않는다”던 미카엘 세르베투스(스페인),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던 프란시스코 수아레스(스페인)도 있다. 우아한 궁정의 뜨락에서 신의 눈물을 홀짝이던 기독교 권력자들의 눈에는 이런 주장을 설파하고 다니는 철학자들이 미친놈으로 보였을 것이다.

관점에 따라 견해가 갈릴 수 있는 종교철학이야 그렇다 쳐도, 인과관계가 분명한 과학 분야에서조차 종교는 다름을 인정하려 들지 않았다. 영국의 광학자 로저 베이컨이 그 예다. 중세 때 빛은 신의 고유 언어였다. 당연히 빛을 건드리는 건 신에 대한 도전으로 여겼다. 무지개가 특히 그랬다. 성서 창세기에 “내가 구름 사이에 무지개를 둘 터이니 이것이 나와 땅 사이에 세워진 계약의 표가 될 것”이라고 기록돼 있으니 이는 불가침의 진리였을 터다. 프란치스코회 수도자이기도 했던 로저 베이컨 역시 무지개를 그냥 뒀어야 했다. 한데 그는 무지개의 비밀을 알고 있었다. 그는 무지개를 신의 언어라고 생각하는 이들 앞에서 입으로 물을 뿜어 무지개를 재현해 보였다. 그 순간 천상의 빛은 땅으로 곤두박질치고 말았다. 당시 실제 풍경은 어땠을까. 베이컨은 자랑스레 ‘퍼포먼스’를 펼쳤겠지만 주변 성직자들은 시퍼렇게 질렸거나 분노로 부들부들 떨었지 싶다. 결국 베이컨은 이단으로 몰렸고, 오랜 기간 영어의 몸이 된다.

이들의 순교 덕에 지금은 당연시되는 인간의 이성과 자유, 평등, 존엄 등의 가치들이 상식이 됐다. 책은 이처럼 교회 권력의 무자비한 탄압에 맞서 온몸으로 진리를 지켜낸 이단아들의 삶과 사상을 펼쳐내고 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8-02-03 18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