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재미있는 원자력] 방사성폐기물 안전 격리하려면/백민훈 한국원자력연구원 방폐처분연구부장

[재미있는 원자력] 방사성폐기물 안전 격리하려면/백민훈 한국원자력연구원 방폐처분연구부장

입력 2018-01-29 22:34
업데이트 2018-01-30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민훈 한국원자력연구원 방폐처분연구부장
백민훈 한국원자력연구원 방폐처분연구부장
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은 방사능 세기와 발열량에 따라 중저준위와 고준위 폐기물로 나뉜다. 방사성폐기물은 무엇보다 인간과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격리돼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한 기술을 처분 기술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중간 과정이며 어떤 방식을 도입하더라도 형태나 종류는 다르지만 결국 남게 되는 폐기물을 최종 처분해야 한다.

특히 고준위 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은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의 숙제다. 미국, 프랑스 등 선진국들은 1970년대 말부터 관련 연구개발을 시작하고 공론화 과정에 일찌감치 착수했다. 핀란드는 2016년 말 고준위 폐기물 처분장 건설에 돌입했으며 스웨덴도 곧 착수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도 공론화가 실시됐다. 2015년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는 20개월의 공론화 과정을 통해 마련된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는 이듬해 7월 ‘고준위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을 의결하고 고준위폐기물 최종처분을 위한 일정을 마련했다. 그렇지만 공론화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에 사용후핵연료 공론화를 다시 실시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성폐기물을 지하에 처분하는 이유는 현재의 기술과 상황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연구개발 초기에는 심해나 우주에 처분하는 기술도 고려됐지만 땅속 처분기술이 가장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땅에서 나온 우라늄이 긴 삶을 살다가 다시 땅속으로 돌아가는 것이 어쩌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인지도 모르겠다.

고준위폐기물의 경우 지하 500m 정도 깊은 땅속에 처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치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제대로 처분됐고 안전한지를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는 제대로 된 평가 모델의 개발과 처분시설의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선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세밀히 계산하고 평가하는데 여기에 필요한 자료들은 실험실이나 현장 실험 등으로 확보한다. 특히 우리가 예측한 대로 처분 시설이 실제 상황에서 제 성능을 발휘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처분장과 매우 유사한 조건의 지하처분연구시설을 구축하고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연환경에서 처분 시스템이나 처분시설의 구성 물질과 유사한 것들을 찾아 연구하는 자연유사 연구도 실시한다. 이런 과정들을 통해 우리가 설계하고 만든 처분 시스템이 먼 미래에도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안전하게 방폐물을 격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 사회적 소통과 합의는 넓은 의미에서 처분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다. 앞으로도 처분 기술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사람들의 많은 관심이 지속됐으면 한다.
2018-01-30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