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윤이상의 무덤/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윤이상의 무덤/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8-01-22 17:24
업데이트 2018-01-22 18: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이상의 교항곡 5번은 1987년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초연했다. 베를린 750주년 기념행사의 하나로 위촉받은 오케스트라와 바리톤 솔로를 위한 작품이다. 지휘는 훗날 함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을 역임한 한스 젠더, 독창은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가 맡았다.
5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진 교향곡 5번은 ‘평화의 교향곡’으로도 불린다. 베를린 출신의 유대계 시인으로 1966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넬리 작스의 시가 악장마다 쓰였다. 3악장 ‘호소’에는 이런 대목도 보인다. ‘복수의 무기를 밭에 버려라/ 그것들이 이제 조용해지도록/ 대지의 품 속에서/ 시와 곡식은 자매이거늘…’

윤이상은 독일에 건너가기 이전에 이미 명망 있는 작곡가였다. 광복 이후 통영여고 재직 시절에는 시인 유치환, 김상옥과 ‘교가 지어주기 운동’을 벌여 통영초교, 욕지중, 통영여중고, 통영고 등 지역의 많은 학교가 혜택을 입었다. 부산 대신중, 부산고, 마산고, 고려대 교가도 지었으니 알려진 것만 20곡에 육박한다.

윤이상은 1958년은 현악4중주곡 제1번으로 독일 음악계에 데뷔했다. 1966년에는 독일 도나우에싱겐 현대음악제에서 대편성 관현악곡 ‘예악’으로 명성을 얻는다. 동백림간첩단 사건이 일어난 것은 이듬해였다. 1969년 독일로 추방된 윤이상은 1972년 뮌헨올림픽에서 오페라 ‘심청’을 초연하면서 ‘동양 정신을 서양 음악 기법에 담은 음악 세계’로 주목받는다. 윤이상이 ‘정치적 예술가’로 인상 지워진 것은 동백림 사건에 더해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광주여 영원히’(1981)와 분신자살을 모티브로 한 ‘화염에 쌓인 천사’(1994)처럼 정치 현실을 다룬 작품 때문이다. 특히 ‘나의 땅, 나의 민족이여!’(1987)는 평양에서 작곡되고 초연됐다.

윤이상은 나치의 유대인 박해를 다룬 넬리 작스의 시를 바탕으로 ‘오, 빛이여’, ‘밤이여 나누라’, ‘주는 나의 목자시니’ 같은 작품을 더 남겼다. 한국에서 넬리 작스의 작품을 놓고 정치적 편향성을 거론하는 사람은 보지 못했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의 진보와 보수 모두 그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것은 생각해 볼 문제다.

1995년 베를린에 묻힌 윤이상의 유해를 통영으로 이장하는 계획에 속도가 붙으면서 찬반 양론도 거세지고 있다고 한다. 우선 ‘죽어 고향 땅에 묻히고 싶다’는 소망이 꺾이는 일은 주인공이 누구든 없어야 한다. 이장을 추진하는 사람들에게도 세계적 음악가의 무덤일수록 소박해야 감동을 준다는 충고를 하고 싶다. 더구나 지금은 그의 작품이 생전보다 더욱 빛을 발하게 하는 노력이 중요할 때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8-01-23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