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산업부 공공기관장 12곳 윤곽…한 달 전후 마무리

산업부 공공기관장 12곳 윤곽…한 달 전후 마무리

입력 2018-01-16 22:18
업데이트 2018-01-16 2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1곳 중 19곳 공석… 선임 속도

발전자회사 5곳 등 2배수 압축
가스기술공사 사장은 2파전 돌입
준정부기관 3곳도 3배수로 추려
한전 이번 달 사장 공모 진행 예정


연말연시 이후 주춤했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장 인사가 다시 속도를 낼 전망이다.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은 전체 41곳이며, 이 가운데 절반가량인 19곳이 현재 공석이다. 이 가운데 총 12곳이 청와대(9곳) 또는 산업부 장관(3곳)의 낙점이 임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빠르면 한 달 전후로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장 임명이 대부분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16일 기획재정부와 산업부 등에 따르면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 41곳 중 기재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에 5배수로 후보자가 추천된 기관은 한국전력 산하 발전자회사 5곳(동서·남동·남부·중부·서부)을 포함해 한국가스기술공사, 한전KDN, 한국전력기술 등 총 8곳이다. 이들 기관은 모두 ‘시장형 또는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이달 말부터 다음달 초 사이에 기재부 공운위의 심의·의결을 거쳐야 한다.

기재부 공운위는 최근 내부 심사를 거쳐 이들 기관의 기관장 후보를 2배수로 압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전자회사 5곳은 공교롭게도 내부 출신과 외부 출신이 경합하는 구조다. 가장 먼저 공모를 시작한 동서발전은 내부 출신인 국중양 기술본부장과 박일준 전 산업부 기획조정실장이 맞붙었다. 남동발전은 내부 출신인 손광식 기획본부장과 유향열 전 한전 부사장이, 중부발전은 내부 출신인 박형구 전 기술부사장과 한전 부사장 출신인 박규호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대표가 경합하고 있다. 서부발전은 내부 출신인 김동섭 기술본부장과 한전 전무 출신인 김병숙 울릉도친환경에너지자립섬 대표가, 남부발전은 이종식 기획관리본부장과 에너지경제연구원장 출신의 신정식 아주대 겸임교수가 격돌하고 있다.

나머지 공기업 3곳 가운데 한국가스기술공사는 한국가스공사 출신끼리 맞붙었다. 고영태 전 가스공사 연구개발원장과 이제항 전 가스공사 강원본부장이 2파전을 벌이고 있다. 한전KDN 사장 후보로는 정창덕 송호대 총장과 박성철 한전 전 영업본부장 등이 언급되고 있으며, 한국전력기술은 이배수 전 경영관리본부장, 박치선 전 플랜트 본부장 등이 거론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들 기관의 복수후보 가운데 1명이 곧 (청와대로부터) 낙점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공기업은 아니지만 자산 1조원 이상의 준정부기관인 코트라(KOTRA)도 청와대의 낙점만 남았다. 자산 1조원 이상의 준정부기관의 신임 사장은 기재부의 공운위를 거치지 않는다. 코트라 임원추천위원회는 최근 후보군을 3배수로 추려 산업부와 청와대에 제출했다. 후보군에는 권평오, 박봉규 전 산업부 무역투자실장과 기현서 전 칠레 대사가 올랐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준정부기관인 한국광해관리공단과 기타공공기관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3곳도 산업부에서 3배수로 후보군을 추려 백운규 장관에게 추천한 상태다. 산업부 관계자는 “장관의 낙점만 남은 상태이기 때문에 빠르면 한 달 내로 기관장 임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석유공사, 한국전력 등 나머지 5곳의 공공기관장 자리는 아직 공모 절차 시작 전이거나 진행 중이다. 한전은 이달 내 사장 공모를 밟을 예정이며, 최근 송인회 전 한국전력기술 사장이 유력 후보로 거론 중이다. 석유공사는 지난해 12월 29일부터 9일까지 신임 사장 공모를 진행했고, 9명이 지원했다. 부채비율이 지난해 529.4%까지 올라간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탓인지 이전 사장 공모에서 22명이었던 지원자가 9명으로 줄었다. 석유공사는 5명을 후보군으로 추려 기재부 공운위에 추천할 계획이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1-17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