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1987, 그후 여성/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열린세상] 1987, 그후 여성/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입력 2018-01-09 17:32
업데이트 2018-01-09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영화 ‘1987’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뜨겁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서 시작해 이한열 열사의 장례식으로 끝나는 이 영화는 오랜 군부 통치 시대를 종식시킨 1987년 봄 한국의 시민들이 겪었던 슬픔과 분노, 그리고 희망의 역사를 재현하고 있다.

배우 강동원씨가 그랬듯 이 영화 앞에서 흐르는 눈물을 감추기는 쉽지 않다. 스무 살 청년들의 피로 써내려 간 민주화 투쟁의 기억과 그날 남은 아들의 옷과 신발을 아직껏 품에 간직한 어머니. 점심시간, 업무시간을 가리지 않고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쳤던 화이트칼라들. 국민의 생명과 자유를 수호할 책임을 진 국가 권력이 되레 고문과 억압을 일삼는 현실 앞에서 시민들은 각자의 방식대로 권력에 저항했던 모습이 이 영화를 다큐가 아닌 다큐로 만들고 있다.

그런데 한편에서 이 영화에 대한 ‘다른 생각’을 전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여성들이 대표적이다. 영화를 본 많은 여성들은 민주화 운동이나 정치 같은 사회적 이슈를 다룬 영화에서 늘 주변적인 존재로 그려져 온 자신들의 모습을 이 영화에서도 발견하고 불편하다고 말한다.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나 ‘택시운전사’ 같은 영화에서도 여성들은 아이를 낳고 집을 지키는 어머니나 아내, 아니면 음식 솜씨 좋은 아주머니 정도로 묘사됐다. ‘1987’에서도 역시 여성은 가겟집 아주머니거나 주요 인물들의 가족으로 등장한다. 다른 인물이 있다면 ‘연희’다. 대학생으로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민주화 운동에 끌려들어가지만, 결국 87년 운동을 이어 가는 인물이 그녀다. 영화 속의 다른 인물들과는 달리 가상의 존재이지만 사건의 주요 고비에서 막힌 곳을 뚫어 주고 운동을 이어 주는 ‘연결자’가 그녀다.

민주화 운동의 ‘연결자’ 연희는 그 후 어떻게 살았을까? 87년 이후 한국 여성들은 국가 권력의 민주화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민주화를 위해 싸워 왔다. 정치사회의 민주화를 넘어선 생활정치의 주장, 2008년 ‘촛불 소녀’의 등장, 2016년 겨울과 2017년 봄 사이 광화문 거리를 메웠던 수많은 여성들이 그 증거들이다. 국가와 시민사회, 노동시장과 가족이라는 사회의 각 영역에서 여성들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제시하고 전략을 세우고 실천하는 데 앞장서 왔다.

동시에 차별받고 무시당하는 여성들 스스로의 조건을 바꾸기 위해 싸워 왔다. ‘남녀고용평등법’, ‘여성발전기본법’, ‘성폭력특별법’, ‘가정폭력특별법’, ‘성매매방지법’ 등 일터와 가족, 사회에 존재하는 여성과 남성 사이의 불평등과 격차를 줄이고 폭력과 학대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법과 제도를 만들었다. 그리고 2018년 오늘도 여전히 건재한 성별 임금 격차 36%라는 높은 장벽을 깨뜨리고 법적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수정과 보완의 노력이 거듭되고 있다. 나아가 이런 실천은 2017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에 많은 이들의 마음을 울렸던 ‘성평등은 민주주의의 완성이다’라는 구호를 탄생시켰다. 여성과 남성의 평등한 삶이야말로 한국 사회 민주주의의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라는 인식이다.

2018년 광장의 연희는 또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있을까? 청년 여성들의 목소리는 ‘여성 혐오’와 싸우기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을 것 같다. 독자에 따라서는 불편할 수도 있는 이 단어가 중요한 이유는 여성들이 지닌 불평등 경험을 표현하는 데 이보다 더 적합한 단어를 찾기가 어렵다는 데 있다. 그것은 여성에 대한 차별이나 폭력이 우리의 인식 너머, 무의식의 지평에 자리 잡고 있음을 가리킨다.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의식하지 못하지만, 여성 또는 여성적인 것에 대한 부정적인 관념과 평가절하는 한국은 물론 전 세계에 지속돼 온 문화적 코드다.

이제 2018년의 ‘연희들’은 법과 제도를 넘어 문화와 의식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런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지 아니면 거부할지는 개인의 선택이겠지만, 다시 영화 ‘1987’로 돌아가 생각해 보면 그 선택이 사회를 더 좋은 방향으로 바꾸어 온 보통 사람들 편에 서는 것인지를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 민주주의를 위해 때로 생명의 위협까지 무릅써 온 그들에 비하면 여성 혐오에 반대하는 목소리에 마음을 여는 일은 훨씬 더 쉽지 않은가?
2018-01-10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