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시간, 그리고 충만한 쾌락

‘굿타임’은 뉴욕의 하룻밤을 그린 영화다. 그 야화(夜話)의 주인공은 청년 코니(로버트 패틴슨). 사실 그에 관해서는 별다른 정보가 없다. 다만 한 가지는 확실하다. 코니가 지적장애를 가진 남동생 닉(베니 사프디)을 끔찍이 아낀다는 것이다. “우리 둘뿐인 거야. 내가 네 친구야.” 형은 동생에게 이렇게 말한다. 동생도 그런 형을 절대적으로 신뢰한다. “할머니는 아니지만 형은 날 사랑해요.” 이처럼 끈끈한 형제애는 이 작품의 전면에 부각된다. 그런데 이들의 형제애가 발현되는 방식이 독특하다. 이런 논리다. ‘세상에서 서로 믿을 수 있는 사람은 형제밖에 없다. 우리는 우리를 갈라 놓으려는 방해꾼이 많은 이곳을 떠나고 싶다. 그러려면 돈이 필요하다.’
영화 ‘굿타임’
형제는 은행 강도가 되기로 한다. 의외로 그들의 은행털이는 쉽게 이뤄진다. 그렇지만 돈을 들고 도망치던 도중 닉이 경찰에 붙잡히고 만다. 코니의 머릿속은 체포된 동생을 어떻게든 구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꽉 차 있다. 그가 한바탕 동분서주하는 긴긴밤이 이제 막 시작된 것이다. 굿타임은 직역하면 ‘좋은 시간’이라는 의미다. 한데 이 제목은 형제 입장에서 보면 반어적인 타이틀임에 틀림없다. 동생은 구치소에 갇혀 있고, 형은 정신없이 뛰어다니는 한밤이 이들에게 좋은 시간일 리 없을 테니까. 그러나 다른 의미에서 굿타임은 적절한 제목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굿타임에는 ‘쾌락’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이때 쾌락은 두 가지 대상을 향한다. 하나는 관객이다. 형제의 고생담은 그것이 박진감 넘칠수록 관객에게 즐거움을 준다. 역설적이지만 타인의 고통을 체감하는 일이 자신에게는 기쁨으로 승화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 그렇다. 이와 같은 기묘한 마음의 정화 작용을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카타르시스’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쾌락이 향하는 나머지 대상은 누굴까. 바로 코니다. 이 말은 당신한테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는 자기가 맞닥뜨린 곤혹스러운 상황을 괴로워하는 동시에, 이를 기꺼이 향유하는 것처럼 보인다.

임기응변으로 난관을 넘을 때마다, 그러니까 거짓말을 할 때마다, 코니는 스스로 꾸며낸 그 인물이 돼 버린다. 무엇이든 될 수 있다는 자아도취에 빠진 그는 변신의 쾌락을 거부하지 못하는 도착증자 같다. 정신분석학에서는 도착증자를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도착증자에게는 존재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이 없다. 그는 자신의 존재가 어디에서 오는지에 대해 더이상 질문하지 않는다.”(브루스 핑크·맹정현 옮김, ‘라캉과 정신의학’, 민음사, 2002, 304쪽) 정리하자. ‘굿타임’은 형제애를 표방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형제애가 중심인 영화가 아니다. 자신에 대한 한 치의 의심 없이, 세상을 치받는 존재자의 응축된 에너지를 한꺼번에 쏟아내는 영화다. 그야말로 충만한 쾌락이다. 4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