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국 집값 ‘중위가격’ 첫 3억 돌파…수도권 4억 넘어

전국 집값 ‘중위가격’ 첫 3억 돌파…수도권 4억 넘어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8-01-04 08:01
업데이트 2018-01-04 0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강남 등 한강 이남 11개구 주택 중위가격 첫 7억 뚫어…전달보다 1214만원 껑충

8·2 부동산 대책이 무색하게 전국의 집값이 매매 기준 중위가격이 3억원을 처음 돌파했다. 재건축 바람이 휩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집값 상승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수도권은 처음으로 4억원을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6억 8500만원으로 전달보다 1194만원이나 껑충 뛰었다.
이미지 확대
수도권 집값 중위가격 4억 첫 돌파…전국 집값 3억 넘어
수도권 집값 중위가격 4억 첫 돌파…전국 집값 3억 넘어 지난해 2월 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연합뉴스
4일 KB국민은행의 2017년 12월 월간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 중위 매매가격은 3억 259만원으로 전달 2억 9978만원보다 281만원 올랐다.

전국의 주택 매매 중위가격이 3억원을 돌파한 것은 국민은행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전국의 주택 매매 중위가격은 2015년 말 2억 6000만원대에 이른 뒤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6월 2억 9000만원을 넘어섰으며 이번에 3억원 고지에 올랐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2억 3000만~2억 4000만원선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중위가격은 ‘중앙가격’이라고도 한다. 주택 매매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가격을 의미한다. 초고가 또는 최저가 주택은 제외되고 중앙에 분포한 가격만 따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주택가격의 흐름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다. 매매 평균가격은 일부 고가 주택들이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지만 중위가격은 그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8··2 부동산 대책의 규제 영향으로 단독과 연립·다세대 주택이 타격을 받아 지난해 9월에는 3년 4개월 만에 전국의 주택 중위가격이 처음 하락하기도 했다. 하지만 12월에는 아파트의 꾸준한 가격 오름세와 함께 주춤하던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의 가격도 동반 상승하며 전국의 주택 중위가격을 끌어올렸다.

12월 전국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3억 2283만원으로 11월(3억 2042만원)보다 241만원 올랐다. 단독주택(3억 778만원)과 연립주택(1억 6382만원)도 11월(3억 432만원, 1억 6107만원)보다 각각 346만원, 275만원 상승했다.
이미지 확대
전국 주택 중위가격 첫 3억 돌파
전국 주택 중위가격 첫 3억 돌파 8·2 부동산 대책 후속조치로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지난해 9월 5일 대구시 수성구 범어동의 아파트 단지 모습. 2017.9.5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 주택의 중위가격 3억원 돌파에는 수도권, 특히 서울의 집값 상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2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주택 중위가격은 4억 59만원으로 11월(3억 9521만원)보다 538만원 올라 처음 4억원대로 올라섰다.

서울의 경우 강남권이 포함된 한강 남부 11개구의 주택 중위가격은 7억 451만원으로 전월(6억9237만원) 대비 무려 1214만원이 오르며 7억원을 처음 넘어섰다. 강북 14개구의 주택 중위가격은 4억 2908만원으로 전월(4억 2585만원)보다 323만원 올랐다.

여러 주택 유형 가운데서도 서울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6억 8500만원으로 전월(6억 7306만원)보다 1194만원 오르며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강남권을 비롯한 한강 남부 11개구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8억 6645만원으로 전월(8억 4760만원)보다 1885만원이나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은 “서울 등 수도권의 집값이 올라가면서 전국의 주택 중위매매가격이 오른 셈”이라며 “‘전국’ 주택 중위가격이 올랐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국 ‘수도권’ 중심으로 집값이 오른 것으로, 지역별로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