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작년 최고 재테크는 주식…코스피는 예금의 16배 수익

작년 최고 재테크는 주식…코스피는 예금의 16배 수익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1-02 09:37
업데이트 2018-01-02 09: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해도 상당한 격차 예상…은행 PB들 주식·달러·금 등에 주목

1년 전 코스피 주식을 산 투자자의 평균 수익이 정기예금 가입자의 16배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2017 증권ㆍ파생상품시장 폐장일인 지난 12월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홍보관에서 직원들이 색종이를 뿌리며 한 해를 마무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7 증권ㆍ파생상품시장 폐장일인 지난 12월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홍보관에서 직원들이 색종이를 뿌리며 한 해를 마무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재테크에서 순간의 선택이 어마어마한 격차를 낸 셈이다.

2일 한국은행, 대신증권, KB국민은행, 한국거래소(KRX) 등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주식, 부동산, 채권, 정기예금, 금 등 주요 자산 가운데 주식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렸다.

코스피는 작년 말 현재 2,467.49로 1년 전의 2,026.46보다 21.76%가 올랐다.

이는 2016년 말 당시 연 1.4% 금리로 팔린 은행 정기예금(KEB하나은행 e-플러스 정기예금 기준)의 15.5배가 넘는 수익률이다.

변동성은 더 큰 편이지만 코스닥 지수는 같은 기간 26.44%나 상승했다.

욕심을 냈다면 지난해는 주식 투자로 더 높은 수익도 낼 수 있었던 해다.

실제로 증시 상승세를 주도한 삼성전자는 주가가 한해 41.40% 올랐고 SK하이닉스는 71.14% 상승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145.70%)나 LG전자(105.43%) 주식도 배 이상으로 올랐으니 투자자에게 거의 돈벼락을 안긴 셈이다.

증권사뿐 아니라 은행 프라이빗뱅커(PB)까지 지난해 최고의 재테크 수단은 주식이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신동일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부센터장은 “국내외 자산 시장에서 주식이 최고였다”고 한마디로 평가했다.

이에 비해 은행 예금이나 채권은 투자자들에게 별 재미를 주지 못했다. 상장 채권의 투자 수익률을 보여주는 한국거래소의 KRX채권지수(총수익지수)는 고작 0.60% 오르는 데 그쳤다.

펀드 수익률(KG제로인 12월 28일 기준 집계)도 편입 자산에 따라 크게 달랐다.

국내 주식형 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23.09%, 해외 주식형 펀드는 25.87%에 달했지만, 국내 채권형 펀드와 해외 채권형 펀드는 수익률이 각각 1.00%, 3.52%에 그쳤다.

금 값(KRX금시장 금 현물 종가 기준)은 작년 말 1g당 4만4천840원으로 한해 전(4만5천200원)보다 오히려 뒷걸음쳤으니 비교해볼 필요도 없다.

또 달러화를 사둔 투자자도 원·달러 환율의 하락으로 11%가량의 투자 손실을 보고 있다.

아파트 값(KB국민은행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 기준)은 지역별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역시 주식에 비할 바는 못 된다.

지난 12월 25일 현재 전국의 아파트값은 연초보다 1.38% 오르는 데 그쳤다. 강남구(7.32%), 송파구(7.18%), 서초구(5.72%) 등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률도 5.63%였다.

새해에도 재테크 수단별로 수익률 편차가 상당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관석 신한은행 PWM분당중앙센터장은 “어마어마한 가계부채와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이나 채권 투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새해에도 글로벌 주식 시장은 나쁘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또 단기 투자가 아니라면 금도 유의 깊게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신동일 부센터장도 “적어도 상반기에는 주식이 괜찮아 보인다”며 “원·달러 환율이 크게 떨어진 상황인 만큼 달러화를 사서 달러화로 투자하는 주가연계증권(ELS)이나 해외 펀드도 괜찮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