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민족’ ‘통일’ ‘평화’ 등 50차례 언급… 대남 유화 공세

‘민족’ ‘통일’ ‘평화’ 등 50차례 언급… 대남 유화 공세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8-01-01 22:42
업데이트 2018-01-01 2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은 신년사 주요 키워드

‘핵보유’ 강조 5~6분 이상 할애
경제 21차례… 구체적 사업 언급

올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는 어느 때보다 남북 관계 개선을 강조한 게 눈에 띈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해 후반부에 대남·대미 메시지를 배치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전반부에 강한 대미 메시지를 던지고 난 뒤 후반부에 대남 메시지에 집중했다. 특히 평창동계올림픽에 북한 선수단 파견을 언급하는 등 남북 관계의 개선 의지를 드러내며 ‘대남 유화공세’를 펼쳤다. 까닭에 ‘민족’이라는 단어는 19차례, ‘통일’ 12차례, ‘평화’ 10차례, ‘북남(남북)관계’를 9차례 언급하는 등 유화적 단어 선택이 많았다. 국제사회의 압박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남북 관계 개선을 고립 탈출을 위한 돌파구로 사용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또 미국을 염두에 둔 카드로 ‘핵무력 완성’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책상 위에 핵단추 버튼이 있다’, ‘핵 억제력이 위협이 아닌 현실임을 알아야 한다’ 등 ‘핵보유국’임을 강조하는 데 5~6분 이상을 할애했다. ‘핵’이 포함된 단어는 22차례 언급했다. ‘북남(남북)관계’는 9차례, ‘미국’은 11차례 등장했다. 지난해 신년사에서 ‘핵’이 포함된 단어와 ‘북남관계’를 각각 5차례, ‘미국’을 4차례 언급한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핵과 대미·대남 메시지에 실린 비중이 외형적으로는 커졌다.

경제 분야에서는 그동안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에 맞서 강조해 온 ‘자립’을 8차례 언급했다. 경제는 21차례 언급했다. 구체적인 계획이나 사업 언급이 없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구체적인 사업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2016년 7월 착공한 원산갈마해양관광지구, 2017년 5월 착공한 단천발전소 등 구체적인 사업을 통해 ‘경제전선 전반 활성화 총력’, ‘자립성과 주체성’ 강화, ‘인민경제 개선 향상’을 강조했다. 지난해와 달리 ‘자책성’ 발언은 없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언제나 늘 마음뿐이었고 능력이 따라서지 못하는 안타까움과 자책 속에 지난 한 해를 보냈다”며 극히 이례적인 ‘자아비판’ 발언을 했다. 김일성·김정일 배지는 달지 않았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인민복과 검은 정장을 입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은회색 양복과 넥타이에 흰 셔츠를 입었다. ‘김일성 따라하기’라는 평가가 나온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8-01-02 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