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시 제조업이다] ‘질 좋은 일자리’는 여전히 제조업에서…30년 만에 실질 GDP 16%서 29%로

[다시 제조업이다] ‘질 좋은 일자리’는 여전히 제조업에서…30년 만에 실질 GDP 16%서 29%로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7-12-31 21:12
업데이트 2017-12-31 2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 창출 왜 제조업이 답인가

일자리 비중은 20.5% 불과
상용직 비율·급여수준 높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재변모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은 제조업 부활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질 좋은 일자리는 여전히 제조업에서 나오는 데다,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융합하면서 제조업이 고용 창출의 기반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제조업 일자리는 54만개가 새로 생겼지만 68만개가 사라지면서 14만개가 줄었다. 제조업 일자리는 476만개로 다른 산업군에 비해 월등한 1위였지만,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1.2%에서 20.5%로 하락했다. 반면 서비스업의 국내 일자리 비중은 70%에 이른다.

하지만 일자리의 질로 보면 상황이 다르다. 제조업의 중위임금(근로자를 임금 순으로 나열할 때 한가운데 임금)은 281만원이지만 도·소매업(199만원)과 보건·복지업(160만원)은 200만원이 안 됐다. 또 제조업의 평균임금은 353만원이었지만 도·소매업은 267만원, 보건·복지업은 288만원에 그쳤다.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1981~1985년 제조업은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16%에 불과했지만 2011~2016년 28.6%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의 실질 GDP 비중은 54.1%에서 53.0%로 오히려 줄었다. 이른바 ‘굴뚝 산업’이었던 제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재변모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정희 중앙대 산업경제학과 교수는 “제조업은 상용직 비율과 급여수준이 높은 반면 서비스업은 부가가치가 낮고 전문직이 적다”며 “특히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융합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제조업이 강해야 서비스업에서도 질 좋은 일자리가 생긴다”고 강조했다.

실제 자율주행차의 개발로 배달, 인포테인먼트 등의 서비스업이 전환기를 맞았다. 배달원 없이 피자를 배달하고, 음성으로 길찾기·검색·노래듣기·영화보기 등을 명령하는 서비스가 차량에 장착되는 추세다. 스마트 워치가 나오면서 새로운 유형의 건강 관리 및 치료서비스도 각광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로봇 등 최첨단 기술이 근로자를 대체하는 ‘스마트 팩토리’가 확산되면서 제조업의 고용 창출력이 떨어진다고 반론을 편다. 국제로봇협회(IFR)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산업로봇 수’는 531대로 세계 1위다. 안재욱 경희대 경제학부 교수는 “로봇이 근로자를 대체하는 추세는 막을 수 없는 만큼 서서히 연착륙을 해야 하는데 높은 임금과 경직된 고용구조 때문에 기업들이 빠르게 산업현장을 (로봇으로) 바꾸고 있다”면서 “정부가 규제 완화 및 노사관계 중재 등을 통해 연착륙을 유도하고 제조업의 미래 경영환경 조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1-01 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