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출·예금금리 동시 뜀박질…주택대출 5%·1년정기예금 2% 육박

대출·예금금리 동시 뜀박질…주택대출 5%·1년정기예금 2% 육박

신성은 기자
입력 2017-12-31 15:59
업데이트 2017-12-31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준금리 인상 선반영…새해 더 오를 수도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연 2% 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이는 2015년 3월(2.01%) 이래 2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진은 31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앞 예금 특판 관련 안내문.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연 2% 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이는 2015년 3월(2.01%) 이래 2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진은 31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앞 예금 특판 관련 안내문.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고 추가 금리 인상 기대가 커지면서 예금, 대출 금리가 뛰어올랐다.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NH농협)의 혼합형(5년간 고정, 이후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1년간 최대 0.55%포인트(p) 올랐다.

NH농협은행의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가이드금리는 올해 1월 2일 기준 3.26∼4.30%에서 내년 1월 2일 기준 3.71∼4.85%가 된다.

최저금리는 0.45%p, 최고금리는 0.55%p 오르는 셈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다음 달 2일 자 주택대출 가이드금리가 3.68∼4.79%로, 1년 전(3.48∼4.59%)보다 0.20%p 상승했다.

우리은행이 다음 달 2일 적용하는 주택담보대출 가이드금리는 3.58∼4.58%로, 1년 전(3.38∼4.38%)보다 0.20%p 높다.

KEB하나은행의 가이드금리는 3.495∼4.695%로 적용될 예정이다. 최저금리 기준 0.166%p, 최고금리 0.146%p 상승한 것이다.

KB국민은행은 1월 2일부터 5일까지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3.65∼4.85%로 적용한다. 이는 지난해 마지막 주 적용 금리인 3.41∼4.71%보다 0.14%p 오른 수준이다.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금리도 올랐다.

11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77%로 1년 전(1.51%)보다 0.26%p 올랐다.

잔액 기준 코픽스 역시 1.62%에서 1.66%로 상승했다.

대출 금리뿐 아니라 예금 금리도 올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예금은행의 1년 만기 신규 정기예금 금리는 연 1.96%를 기록했다.

이는 2015년 3월(2.01%) 이래 2년 8개월 만에 최고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이후 아직 2%대를 기록한 적 없다.

올해 7월 연 1.56%를 기록한 1년 정기예금 금리는 4개월 만에 0.40%p 뛰었다.

모든 만기를 다 포함한 전체 정기예금 금리는 11월 연 1.74%다. 7월(1.43%)과 견주면 0.31%p 뛰었다.

비은행 정기예금 금리도 상승세다.

상호저축은행은 5월 2.07%에서 9월 2.40%로 오른 이래 그 수준을 유지했다.

신협은 11월 연 2.18%로 한 달 전보다 0.04%p, 새마을금고는 연 2.10%로 0.05%p 올랐다.

상호금융은 0.06%p 상승한 1.79%를 기록했다.

시장금리가 상승한 것은 기준금리 인상이 반영된 탓이다.

지난달 30일 한은은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올렸다.

기준금리가 인상된 것은 6년 5개월 만의 일이었다.

시장은 실제 기준금리가 오르기 전부터 기준금리가 오른다는 기대를 예·적금, 대출 금리에 선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한국 경제 개선세도 계속되면서 앞으로 기준금리는 더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금리는 먼저, 더 큰 폭으로 오를 공산이 크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신년사에서 “당분간 통화 완화 기조를 유지해나가야 할 것”이라며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 금융안정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