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화약고 건드린 ‘예루살렘 선언’…37년 철권통치 막 내린 짐바브웨

화약고 건드린 ‘예루살렘 선언’…37년 철권통치 막 내린 짐바브웨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7-12-28 18:12
업데이트 2017-12-28 19: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격랑 휩싸인 중동·아프리카

올 한 해 중동은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패퇴, 사우디아라비아·이란 패권 경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루살렘 수도 선언’ 후폭풍으로 숨 가빴다. 빈곤과 난리를 피해 유럽행을 꿈꿨던 아프리카 난민들은 지중해에 잠겼거나 노예로 팔려나갔다.
IS는 올해 주요 거점에서 연쇄적으로 패배해 몰락했다. 지난 7월 최대 근거지 이라크 모술을 잃었다. 10월에는 실질적 수도 시리아 락까에서 밀려났다. 이라크 정부는 지난 9일(현지시간) “시리아 접경지역을 완전히 장악했다”며 3년여 만에 IS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선언했다.

IS가 사라진 이라크와 시리아에서는 이란의 입김이 강해졌다. 이란은 IS 격퇴전에서 이라크와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했었다. 동시에 레바논에서 친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영향력이 세지면서 이란의 앙숙 사우디는 머리맡에 친이란 세력인 ‘시아벨트’를 두게 됐다.

사우디는 이란을 견제하려고 안간힘을 썼다. 지난 6월에는 이란과 친교하고 테러단체를 지원했다는 이유로 카타르를 봉쇄했다. 현재 사우디 제1 왕위계승자(왕세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당시 국방장관이 이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빈살만 국방장관은 지난 6월 21일 무함마드 빈나예프를 제치고 왕세자에 책봉됐다.

빈살만 왕세자의 대외정책은 반(反)이란으로 요약된다. 사우디는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가 지난달 4일 수도 리야드를 향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사건의 배후를 이란으로 지목했다. 지난달 26일 리야드에서 열린 수니파 41개국 대테러이슬람군사동맹(IMCTC) 첫 공식 회의에서는 사실상 이란을 겨냥해 “지구상에서 테러를 박멸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사우디와 이란의 세력 다툼 와중에 사드 하리리 레바논 총리는 지난달 14일 사우디를 방문해 “헤즈볼라가 나를 암살하려 한다”며 사퇴를 선언해 파문을 일으켰다. 당시 헤즈볼라의 입지를 좁히려고 사우디가 하리리 총리의 사임을 종용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사우디와 이란의 대리전이 진행 중인 예멘에서는 지난 4일 사우디와 협상을 시도했던 알리 압둘라 살레 전 예멘 대통령이 후티 반군에게 살해당했다.

이라크 서북부의 쿠르드자치정부(KRG)는 지난 9월 25일 이라크와 국제사회의 반대를 무시하고 분리독립 투표를 강행했다가 역풍을 맞았다. 이라크군이 지난 10월 16일 KRG가 지배하는 키르쿠크주의 유전지대를 빼앗았고, 마수드 바르자니 KRG수반이 물러났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관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루살렘 선언 이후 파국으로 치달았다.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분노의 날’ 시위 등으로 사상자가 속출했다.

아프리카에서는 37년간 짐바브웨를 철권통치했던 독재자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이 퇴진했다. 자신의 아내 그레이스를 차기 대통령으로 삼으려고 했던 무가베 전 대통령에 반발한 군부가 지난달 15일 쿠데타를 일으켰다. 무가베 전 대통령은 지난달 19일 사임했다.

아프리카 난민들은 소형 보트를 타고 지중해를 건너 유럽으로 탈출하려다가 숨졌다. 유엔난민기구 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만 1000명 이상이 지중해에서 익사했다. 지난달 14일에는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 외곽에서 난민을 노예로 매매하는 현장이 포착돼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7-12-29 1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