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경주 동궁 복원/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경주 동궁 복원/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7-12-27 17:58
업데이트 2017-12-27 18: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주의 신라유적 ‘동궁(東宮)과 월지(月地)’의 북동쪽 지역에서는 2007년부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를 벌이고 있다. 지금까지 23곳의 건물터를 비롯해 담장과 배수로, 우물 등 궁궐 시설을 확인했다. 올해는 수세식 화장실 유구도 찾아냈다. 화강암을 깎아 만든 쪼그려 앉는 방식의 변기 가운데 구멍을 뚫고 그 아래로는 기울기를 둔 배수로로 배설물이 깨끗하게 흘러나갈 수 있도록 했다.
경주의 동궁은 오해도 없지 않았다. 중국에서 동궁이란 세자의 거처를 뜻하는데, 사극에서 자주 봤던 대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같은 뜻으로 썼다. 이 때문에 경주의 동궁 역시 세자의 거처로 인식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월성(月城) 및 북궁(北宮)과 함께 신라의 정궁(正宮)으로 자리매김하는 분위기다. 글자 그대로 신라 왕경(王京)의 동쪽에 자리 잡아 이렇게 불렀다는 것이다. 매우 정성을 들여 만든 동궁의 화장실도 왕을 위한 시설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월지를 사이에 두고 수세식 화장실이 발견된 동북쪽의 반대편인 서남쪽에서는 1975~1976년 발굴조사에서 임해전(臨海殿) 터가 확인되기도 했다.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연회를 베풀었다는 곳이다. 동궁과 월지의 관계는 조선시대 정궁인 경복궁과 경회루 연못의 관계와 매우 닮았음을 알 수 있다. 임해전과 경회루의 역할 역시 완전히 똑같다. 그러니 ‘경복궁 연못’이라는 표현도 어색하기만 하다. 월지처럼 뭔가 이름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된다.

‘동궁과 월지’는 안압지(雁鴨池)라는 이름으로 더욱 익숙하다. 발굴조사로 동궁의 실체를 확인한 데다 안압지는 조선시대 명칭이어서 2011년 지금처럼 바꾼 것이다. 하지만 발굴이 진척될수록 월지가 동궁의 부속시설이라는 사실 또한 명백해지고 있다. 경복궁을 ‘경복궁과 경회루 연못’으로 부르지 않는 것처럼 언젠가 ‘동궁과 월지’도 그저 ‘동궁’으로 부르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경주시가 내년부터 동궁 복원에 나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전(正殿)과 왕이 정사를 보던 편전, 침전, 회랑 등을 단계적으로 복원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어떤 모습으로 짓겠다는 건지 궁금하기만 하다. 동궁을 세운 문무왕(626~681) 시대 것을 포함해 신라 궁궐 건물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이미 월지 주변에는 3채의 누각이 지어졌지만 신라시대 건물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번에도 경주시가 하겠다는 작업은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한 ‘복원’이 아니라 ‘신축’일 수밖에 없다.

dcsuh@seoul.co.kr
2017-12-28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