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미 금리차 1%p 확대되면 원/달러 환율 1.34%p↓”

“한미 금리차 1%p 확대되면 원/달러 환율 1.34%p↓”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2-17 11:03
업데이트 2017-12-17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환율에 자본수지·금융계정도 큰 영향

한미 간 단기 금리 차가 1%포인트 확대되면 원/달러 환율이 1.34%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박용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은 17일 ‘환율변동의 결정요인 분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한미 간 단기 금리 차가 원/달러 환율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환율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한국 통화량 증가율, 한미 간 단기 금리 차, 국내총생산(GDP) 대비 자본수지 및 금융계정 흑자, 한국 산업생산 증가율 등을 꼽고 1998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이들이 환율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중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이 바로 한미 간 단기 금리 차였다.

그다음은 GDP 대비 자본수지·금융계정 흑자로, 이 비중이 1%포인트 오를 때 환율 변화율이 0.61%포인트 하락(원화 강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수익률 변동에 따라 외국인 투자 자금 유출이 일어나고 이 때문에 환율 변동성, 절상률을 높이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한국과 미국의 장단기 금리 차는 올해 1월 -0.1%포인트에서 10월 0.2%포인트로 확대됐다.

이 때문에 원/달러 환율은 하락(원화 강세) 압력을 받고 있다.

국제수지상 자본수지·금융계정 흑자는 지속해서 늘어 지난해 1천25억 달러를 기록했고 올해 1∼10월 433억 달러 흑자를 냈다. 이 역시 원/달러 환율 하락(원화 강세) 재료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통화량 증가율이 1%포인트 상승하면 원/달러 환율 변화율은 0.23%포인트 상승(원화 약세)했다.

한국의 산업생산 증가율이 1%포인트 오르면 원/달러 환율은 0.14%포인트 하락(원화 강세)했다.

보고서는 올해 들어 원/달러 환율 변동성과 절상률 수준이 크게 확대했다고 지적했다.

올해 1월 말과 견주면 11월 말 달러 대비 원화 절상률은 6.32%로 주요 20개국(G20) 평균 1.78%를 훌쩍 넘었다. 주요국 통화 중 4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환율의 급격한 변동과 절상은 주력 산업 수출, 기업 채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박 연구원은 “외환 당국은 외환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에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시장과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며 “경제 펀더멘털 강화로 대외변수에도 안정적인 기초 체력을 유지해야 하고 기업은 환리스크 관리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