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故) 백남기 농민, 중앙대 명예학사 수여…입학 48년 만에 졸업장

고(故) 백남기 농민, 중앙대 명예학사 수여…입학 48년 만에 졸업장

장은석 기자
입력 2017-12-17 11:41
업데이트 2017-12-17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故) 백남기 농민이 중앙대학교에서 입학 48년 만에 졸업장을 받았다.
이미지 확대
‘37년만에 받은 아버지의 졸업장’
‘37년만에 받은 아버지의 졸업장’ 16일 오후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에서 열린 故 백남기 동문 명예학사학위 수여식에서 딸 백도라지씨가 김창수 총장으로부터 백남기 씨의 명예졸업증서를 받고 있다.
2017.12.16 연합뉴스
백씨는 2015년 11월 14일 ‘민중총궐기 대회’에 참가했다가 경찰 물대포에 맞아 의식을 잃었고, 317일간 사경을 헤매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지난해 9월 25일 운명했다.

중앙대는 지난 16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교내 대학원건물에서 백씨에 대한 명예학사학위 수여식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김창수 중앙대 총장, 고인의 부인 박경숙 씨와 큰딸 백도라지 씨 등 유족, 더불어민주당 김영진·노웅래 의원, 교수·학생 등 약 100명이 동석했다.

부인 박 씨는 행사 중간중간 고인이 떠오르는 듯 눈물을 훔쳤다. 고인의 중앙대 재학 시절 함께 학생운동에 앞장서며 가깝게 지냈던 동기와 선후배 10여 명도 참석해 상기된 얼굴로 자리를 지켰다.

김 총장은 “재학 시절 엄혹한 시대 상황 속에서 백 동문이 보여준 의로운 행동은 학교의 역사와 전설로 기록됐다”면서 “백 동문을 비롯해 당시 제적의 고통을 당한 여러 동문께 학교 구성원을 대표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고인은 조국 발전에 헌신하고자 행정학과에 입학했으나, 우리나라 현실은 민주화 운동이라는 희생을 요구했다”면서 “민주주의와 정의를 위해 평생 맞선 고인을 이제 ‘백남기 농민 열사’로 부르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이어 “백 열사는 우리 곁을 떠났지만, 그 정신은 시대와 함께 숨 쉴 것”이라면서 “고인이 사고를 당한 후 진상 규명·책임자 처벌과 농업 자주화 운동에 힘쓴 농민과 활동가 등 시민사회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고인 약력소개와 명예졸업증서·공로패 수여식이 거행됐다.

고인의 친구이자 민주화 운동 동지인 중대 신문방송학과 69학번 이명준 씨는 고인의 약력을 소개하며 “교내 의혈탑에 ‘백남기 동상’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해 박수를 받았다. 중앙대에는 1960년 4·19혁명 때 숨진 학생 6명을 기리는 의혈탑이 있다.

명예졸업증서를 받은 고인의 딸 도라지 씨는 “아버지께서 종종 중앙대 얘기를 하셔서 선후배들이랑 잘 지내셨을 거라 짐작하지만, 이제 계시지 않으니까 맞냐고 물어볼 수는 없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그러면서 “아버지께 졸업장 받는 기분도 여쭤볼 수가 없지만, 아마 하늘에서 기뻐하실 것 같다. 학교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김 부총리는 행사를 마친 후 중앙대 교수협의회 측과 만나 서한을 전달받기도 했다. 교수협은 “일방적인 총장 지명을 철회하고 새로운 총장 선출 제도를 마련하라”며 본관에서 항의농성 중이다.

1947년 전남 보성군에서 태어난 백 씨는 광주서중·광주고를 졸업하고 1968년 이 대학 행정학과에 입학했다. 교내 유신 철폐 시위를 주도하는 등 민주화 운동에 투신했던 그는 1980년 계엄군에 체포되면서 퇴학 처분을 받았다.

1981년 석방 후 귀향해 농업에 종사한 그는 가톨릭농민회 전남연합회장·전국 부회장을 역임하며 농촌살리기 운동에 참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