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100원線도 무너졌다… 달갑잖은 원화 강세

1100원線도 무너졌다… 달갑잖은 원화 강세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7-11-17 21:52
업데이트 2017-11-18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년 2개월 만에… 종가 기준 1097.5원

외국인 투자자금 증시 계속 유입 영향
외환당국 “하락 속도 빨라” 예의주시
유가·금리 상승 속 수출 악영향 우려


원·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지선인 1100원을 뚫고 1000원대로 내려앉았다. 유가와 금리가 오르는 가운데 원화 가치까지 상승(환율 하락)하는 ‘3고(高) 현상’이 경기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외환당국은 최근 환율 하락 속도가 가파르다며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히는 등 사실상 ‘구두개입’에 나섰다.
원·달러 환율이 전날보다 3.9원 하락한 1097.5원에 거래를 마감한 17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원·달러 환율이 전날보다 3.9원 하락한 1097.5원에 거래를 마감한 17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3.9원 하락한 1097.5원에 문을 닫아 지난해 9월 29일(1098.8원) 이후 1년 2개월 만에 종가 기준 1100원이 무너졌다.

지난 16일에는 장중 한때 1099.6원까지 떨어졌다가 곧바로 회복해 1100원을 지켰지만, 이날은 장중 내내 1000원대에 머물렀다.
이미지 확대
올해 외환시장 개장일인 1월 2일 1208원에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추석 연휴 전만 해도 1140원대를 형성했지만 최근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9월 28일(1149.1원)과 비교하면 50여일 새 50원 넘게 하락했다. 달러화마저 최근 미국 세제개편 지연 우려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원화는 거의 유일하게 강세를 보이고 있는 화폐다.

외환당국 관계자는 “단기 쏠림 현상이 있는 것 같다”며 “하락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원화가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이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국내 증시에 외국인 자금이 계속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추석 연휴 이후 지난 16일까지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쳐 3조 9000억원을 순매수했다. 북한이 두 달 넘게 도발을 멈춘 것도 원화 가치를 끌어올렸다.

당분간 원화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 자산을 사려는 수요가 늘고 있어 원·달러 환율은 내년 중 1050원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문일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도 “새로 임명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의 통화정책이 ‘비둘기파’(점진적 인상)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은 앞으로도 하락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화 강세는 수출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산업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1% 하락하면 국내 제조업체의 영업이익률은 0.05% 포인트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수출을 주도하는 반도체 등은 해외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구축하고 있어 환율 변동에 따른 타격이 크지 않지만 다른 업종은 원화 강세가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환율 하락에 따라 수입물가 하락 효과가 나타나더라도 소득 감소와 고용 문제로 침체된 내수 시장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7-11-18 1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