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0·27법난’ 37년 만에 진상 규명 힘받는다

‘10·27법난’ 37년 만에 진상 규명 힘받는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7-11-09 17:40
업데이트 2017-11-09 1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해자·책임자 안 밝혀져 공허하고 서운”

설정 총무원장, 도종환 장관 접견 때 촉구
불교계 1670억원 들여 기념관 건립 추진

“10·27법난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다음가는 국가 권력의 인권탄압 사건으로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진상 규명에 국가가 나서야 합니다.” 최근 취임한 설정 조계종 총무원장이 정부에 ‘10·27법난’의 진상 조사와 명예 회복을 강도 높게 요구했다. 총무원을 예방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통해서다. 취임 후 첫 정부 인사를 만난 자리에서 콕 짚어 요구한 사안인 만큼 정부의 향후 조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조계종 총무원장 설정(왼쪽) 스님이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4층 접견실에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 제공
조계종 총무원장 설정(왼쪽) 스님이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4층 접견실에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 제공
‘10·27법난’은 1980년 10월 27일 신군부세력이 불교계 정화를 명목으로 군경을 동원해 당시 조계종 총무원장과 각 교구본사 주지를 비롯한 스님들을 강제 연행해 고문을 자행한 사건으로 1700년 한국불교 역사상 가장 치욕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설정 스님도 법난 당시 보안대에 끌려가 고초를 당했다.

설정 스님은 지난 8일 총무원장 접견실에서 도 장관을 만나 “종단의 아픈 역사인 10·27법난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잔악하고 치졸한 탄압이었다”며 “법난이 일어난 지 37년이 지났지만 가해자와 책임자가 누구인지도 밝혀지지 않은 현실이 공허하고 서운하다”고 밝혔다. 수덕사 주지 당시 충남도 보안대로 끌려가 승복이 벗겨지는 자신의 경험을 전한 설정 스님은 “군경 10만명을 동원해 본사와 수말사의 스님을 끌어내 보안대로 끌고 가서 승복을 벗기고 고문했다”며 “법난으로 인해 불교계가 입은 피해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크다”고 거듭 강조했다.

설정 스님은 특히 “제대로 된 규명이 없었다. 기록이 없어 모른다는 것이 말이 되는 소리인가”라고 묻고 “새 정부가 과거 국가 권력의 잘못된 점을 바로잡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니 10·27법난 진상 규명에도 신경 써 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도 장관은 설정 스님에게 법난 당시 상황을 자세히 되묻고 경청하는 등 관심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방 자리에는 총무부장 지현, 사서실장 심경, 기획실장 정문, 문화부장 정현 스님과 이기흥 중앙신도회장, 김갑수 문체부 종무실장, 이상효 문체부 종무관이 배석했다.

10·27법난과 관련해 불교계는 진상 규명 및 명예 회복을 끊임없이 요구해 왔다. 하지만 국가 차원의 대응은 법난 발생 25년이 지난 2005년 국방부에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가 출범한 게 처음이다. 2008년 사건 발생 28년 만에 특정한 종교단체에 무리하게 적용한 국가권력 남용의 대표적 사건으로 공식 규정되고, 법난 피해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과 시행령이 제정, 공포되면서 총리실 산하에 법난피해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가 설치, 운용됐다. 지난해 6월 법난위원회가 해단될 때까지 피해 확인과 함께 명예 회복이 이뤄진 건 개인 95명과 단체 52곳, 54명에 대한 의료지원금 지급뿐이다. 10·27법난 기념사업은 지난해 7월 법난위원회가 문체부 소속으로 바뀌면서 계속 추진되고 있으며 불교계도 총사업비 1670억원을 들여 2018년 완공을 목표로 10·27법난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 10·27법난 명예회복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지현 스님은 지난달 27일 열린 10·27법난 제37주년 기념법회에서 “기념관 건립 사업의 큰 방향은 잡혔지만 헤쳐 나갈 길이 멀다”며 “조계종 집행부를 비롯한 종단 관계자들의 책임이 가장 무겁겠지만 사부대중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고 밝힌 바 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7-11-10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