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중학생 꿈의 직업, 넷 중 하나는 공무원

중학생 꿈의 직업, 넷 중 하나는 공무원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7-11-07 23:16
업데이트 2017-11-08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7년 사회조사 결과

대기업 선호 청년은 15% 불과
中企 3.7%… 해외기업보다 낮아
직업선택 기준 수입·안정성 꼽아
직장인 60%는 고용안정 불안감
이미지 확대
중학생들에게 물었다. 가장 들어가고 싶은 직장이 어디냐고. 그랬더니 네 명 중 1명(25.3%)은 국가기관을 꼽았다. 대기업은 19.6%로 한참 뒤처졌다. 고등학생들도 똑같은 반응을 보였다. 대학생 이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국가기관이나 공기업 선호도가 더욱 극명해진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7년 사회조사 결과’다. 이 조사는 2년에 한 번씩 이뤄진다. 만 13~29세 3만 9000명을 대상으로 물은 결과 ‘가장 일하고 싶어 하는 직장’은 국가기관(25.4%), 공기업(19.9%), 대기업(15.1%) 순서로 나타났다. 2년 전보다 국가기관은 1.7% 포인트, 공기업은 0.4% 포인트 증가했지만 대기업은 3.6% 포인트나 감소했다. 창업은 11.3%에 그쳤다. 중소기업 선호도(3.7%)는 해외기업(4.5%)보다 더 낮았다. 성별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모든 조사대상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분포도다.

통계청은 “모험보다는 안정을 중시하는 요즘 세태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직업 선택 때 가장 중시하는 요인’을 묻는 질문에도 20대 이상은 수입(39.1%)과 안정성(27.1%)을 꼽았다. 적성·흥미(17.1%)는 말할 것도 없고 장래성(5.6%), 보람(5.4%), 명예(2.9%)는 거의 미미했다. 이미 직장을 구한 뒤에도 사람들은 고용 안정성을 늘 불안해했다. 응답자 가운데 취업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평소 직장을 잃거나 바꿔야 한다는 불안함을 느끼느냐”고 묻자 60.4%가 “그렇다”고 답변했다. 남성(62.3%)이 여성(57.8%)보다 불안감을 더 느꼈다. 이런 사회적 불안감이 어렸을 때부터 창업이나 기업체보다는 ‘공시족’(공무원시험 준비생)으로 눈을 돌리게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떨어뜨리는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조사는 올해 5월 16일부터 6월 2일까지 이뤄졌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11-08 1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