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명미의 노래하기 좋은 계절] 늦가을을 지나 보내는 품격

[이명미의 노래하기 좋은 계절] 늦가을을 지나 보내는 품격

입력 2017-11-06 23:28
업데이트 2017-11-07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영미 성공회대 대우교수·대중예술평론가
이영미 성공회대 대우교수·대중예술평론가
나는 ‘봄 처녀 가을 사내’란 말을 들으면 좀 헛웃음이 나온다. 봄에는 처녀 마음이 흔들리고 가을에는 사내들 마음이 흔들린다는 이 말은 남자들의 시각이라고 확신한다. 봄에 마음이 달뜨는 게 여자뿐이랴. 남자도 달뜬다. 해가 길어지고 날이 따뜻해져 성적 욕구가 늘어난 남자 눈에 달뜬 여자들이 부쩍 들어오는 것일 게다. 그에 비해 가을은 상승하는 기세가 꺾이는 계절이니 남녀 모두 언젠가 아래로 떨어질 운명을 지닌 자신에게 집중하게 된다. 물론 남성 중심 사회의 남자들은 위만 보고 돌진하는 방식으로 살고 있으니 ‘영락(零落)의 계절’에 부쩍 심사가 복잡해지긴 한다. 하지만 여자들이라고 모든 존재가 지닌 영락의 운명을 느끼지 않겠는가. 어떤 존재도 언젠가는 내리막길로 접어들어 소멸하는 엄숙한 운명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그러니 인간의 품격은 내리막길에서 드러난다는 생각조차 든다. 잘 올라는 것보다 잘 내려가는 것이 더 힘들고, 깃발을 세우는 것보다 적절한 때 잘 내리는 것이 더 힘들다. 가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11월은 내리막길의 품격을 생각할 가장 좋은 계절이다.

가을에 대한 노래는 정말 많다. 그러나 대부분 외로움이나 허무함, 그리움 같은 감정을 토로하는 부근에서 맴돈다. 그런 점에서 이 노래는 늦가을의 노래로 정말 예외적일 정도로 탁월하다.

가을 우체국 앞에서 그대를 기다리다 / 노란 은행잎들이 바람에 날려가고 / 지나는 사람들같이 저 멀리 가는 걸 보네 / 세상에 아름다운 것들이 얼마나 오래 남을까 / 한여름 소나기 쏟아져도 굳세게 버틴 꽃들과 / 지난겨울 눈보라에도 우뚝 서 있는 나무들같이 / 하늘 아래 모든 것이 저 홀로 설 수 있을까 / 가을 우체국 앞에서 그대를 기다리다 / 우연한 생각에 빠져 날 저물도록 몰랐네 - 윤도현 ‘가을 우체국 앞에서’ (1994, 김현성 작사·작곡)

‘이등병의 편지’의 창작자 김현성과 윤도현이 함께했던 포크그룹 종이연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솔로가 된 윤도현이 다시 불러 유명해진 스테디셀러이다. 이 노래도 시작은 사람에 대한 그리움이다. 그대를 기다리는 주인공은 누군가를 향한 교신의 욕망을 보여주는 우체국 앞에 서 있다. 그러나 이 노래는 거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은행잎이 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모든 아름다운 존재들이 모두 소멸할 수밖에 없는 운명임을 생각한다. 그리고 이제 잎을 떨어내 앙상한 가지만 남을 나무들, 심지어 줄기조차 다 사라져버릴 풀꽃들을 생각한다. 이제 죽음과 긴 겨울잠만을 앞둔 연약해 보이는 존재들도 한때 험한 비바람과 죽음 같은 겨울을 수없이 견뎌내며 환생한 용사들임을 기억한다. 그들의 전성기가 화려했든 소박했든 간에 모두 용감하고 굳세게 살아왔던 이 땅의 모든 존재들을 기억하며, 몰락과 소멸 역시 담담하게 용기 있게 받아들이고자 하는 태도가 읽힌다. 내려가기 싫다고 발버둥치며 억지 부리거나 울먹이며 징징거리지 않는 몰락과 죽음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물론 그렇다고 고통과 외로움이 없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민과 공감 역시 동요 ‘겨울나무’ 정도의 절제감을 유지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고향의 봄’으로 데뷔한 아동문학가 이원수가 1957년에 발표한 시에 정세문이 곡을 붙였다.

나무야 나무야 겨울나무야 / 눈 쌓인 응달에 외로이 서서 / 아무도 오지 않는 추운 겨울을 / 바람 따라 휘파람만 불고 있느냐

평생을 지내 봐도 늘 한자리 / 넓은 세상 얘기는 바람께 듣고 / 꽃 피는 봄 여름 생각하면서 / 나무는 휘파람만 불고 있구나-‘겨울 나무’(이원수 작시, 정세문 작곡)

역시 이 정도의 품격을 유지하는 것이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두 노래 모두 긴 세월을 뛰어넘으며 사랑받는 것은, 품격을 갖춘 몰락과 소멸이란 게 쉽지 않아도 정말 유지하고 싶은 태도임을 많은 사람이 생각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2017-11-07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