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4차 산업혁명 핵심은 ‘SF 상상력’에 있다

4차 산업혁명 핵심은 ‘SF 상상력’에 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0-24 17:36
업데이트 2017-10-24 17: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0년 전인 1957년 10월 4일 밤, 당시 소련 영토였던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이미지 확대
구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에 자극받은 미국의 달착륙 프로젝트에 따라 아폴로 11호는 인류 최초로 달 표면을 밟게 됐다. 로켓과 인공위성 기술 개발의 뒤에는 SF의 상상력이 숨어 있다.
구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에 자극받은 미국의 달착륙 프로젝트에 따라 아폴로 11호는 인류 최초로 달 표면을 밟게 됐다. 로켓과 인공위성 기술 개발의 뒤에는 SF의 상상력이 숨어 있다.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은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를 꿈꿔 왔던 인류의 오랜 소망이 실현된 것이었다. 냉전시대 소련과 군비경쟁을 벌이던 미국은 우주개발 경쟁의 우위를 빼앗겼다는 이른바 ‘스푸트니크 쇼크’에 빠졌다.

이후 미국은 대통령 직속 기구인 항공우주국(NASA)을 설립하는 등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R&D) 시스템부터 과학·수학 교육 개편까지 사회 전체적인 개편을 가져왔고 소련을 앞서기 위한 ‘아폴로 달 탐사 프로젝트’를 이끌어 냈다. 그 결과 1969년 7월 21일 아폴로 11호가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는 성과를 냈다.
1997년에 개봉한 SF영화 ‘가타카’는 유전자 조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계급 문제에 대한 내용으로 생물학 관련 논의에서 소재로 자주 쓰이고 있다.
1997년에 개봉한 SF영화 ‘가타카’는 유전자 조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계급 문제에 대한 내용으로 생물학 관련 논의에서 소재로 자주 쓰이고 있다.
스푸트니크 1호나 아폴로 11호처럼 인간이 만든 물체를 우주로 날려 보내는 로켓과 인공위성 초기 역사의 이면에는 SF의 상상력이 자리잡고 있다.

로켓 기술을 가능케 해 인류가 우주를 탐사할 수 있게 만든 것은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SF작가인 콘스탄틴 치올콥스키(1857~1935) 덕분이다. 치올콥스키는 프랑스 대중소설 작가 쥘 베른의 1865년 작품 ‘지구에서 달까지’에서 영감을 얻어 1898년에 현대 로켓기술을 탄생시킨 기념비적 논문인 ‘로켓에 의한 우주공간의 탐구’를 발표했다.

이 논문이 과학계에 알려지기까지는 5년 가까이 걸렸는데 이유는 치올콥스키 자신이 물리학자이지만 ‘지구와 우주에 대한 환상’, ‘다른 세계에 생명은 있는가’와 같은 SF소설을 쓰는 작가였기 때문이다. 과학계에서는 그의 로켓 기술이 그저 SF적 상상력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미지 확대
현대 SF의 아버지로 알려진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은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기 100여년 전에 이미 인류가 달 탐사를 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사진은 베른의 ‘지구에서 달까지’라는 작품을 영화로 만든 조르주 멜리아스의 ‘달세계 여행’(1902) 포스터.
현대 SF의 아버지로 알려진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은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기 100여년 전에 이미 인류가 달 탐사를 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사진은 베른의 ‘지구에서 달까지’라는 작품을 영화로 만든 조르주 멜리아스의 ‘달세계 여행’(1902) 포스터.
이처럼 SF는 당대의 과학기술이 이룩해 내지 못한 미래를 상상력을 통해 예측하고 기술개발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과학사를 보더라도 과학기술의 발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동력은 ‘상상력’이었다. 특히 SF는 과학적 상상력이 드러나는 대표적 장르이기 때문에 과학자와 SF작가들은 서로에게 영감을 주고받고 있다.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도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 지식은 한계가 있지만 상상력은 세상의 모든 것을 끌어안을 수 있다. 나는 그 상상력을 자유롭게 이용한 예술가”라며 과학적 상상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세기를 대표하는 SF 거장으로 꼽히는 미국 작가 필립 K 딕이 1950년대 초에 쓴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2001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이 작품에서는 멀티터치가 가능한 투명디스플레이, 자율주행차, 망막스캔 인식기술, 보행자 맞춤형 광고 등 현재 연구되고 있거나 미래에 등장할 개연성이 큰 기술들로 가득 차 있어 전문가들에게도 다양하게 인용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외국에서 SF는 많은 사람들에게 폭넓게 사랑받는 분야이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일부 마니아들만 좋아하는 장르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에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잡지들이 속속 창간되면서 SF에 대한 관심도 함께 늘고 있다. 실제로 외국에서 SF가 대중에게 사랑받는 장르로 자리잡게 된 19세기 중후반은 다양한 과학잡지들이 창간되면서 일반인들도 최신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던 시기였다.

국립과천과학관의 경우 2009년 ‘SF과학영화제’로 시작해 2012년부터는 ‘SF축제’로 규모를 키워 SF 장르를 통해 과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올해도 ‘과학이 도전하는 SF’라는 주제로 오는 31일부터 11월 5일까지 6일간 SF축제를 개최한다.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기술과 사회의 미래상을 다루는 콘텐츠들이 많아졌지만 청소년을 비롯한 미래 세대들에게 호소력이 있는지는 의문”이라며 “미래 세대에게 미래상을 보여 주고 과학적 영감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SF처럼 문화적 상상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7-10-25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