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아무의 모과/김병호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아무의 모과/김병호

입력 2017-10-20 17:38
업데이트 2017-10-20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영한 ‘우리 시대 신화’, 캔버스에 유채, 162.1×97㎝ 중앙대 서양화과 대학원 졸업, 홍익대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중앙대 예술대학 미술학부 교수. 한남동 필갤러리, 상곡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에서 개인전.
정영한 ‘우리 시대 신화’, 캔버스에 유채, 162.1×97㎝
중앙대 서양화과 대학원 졸업, 홍익대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중앙대 예술대학 미술학부 교수. 한남동 필갤러리, 상곡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에서 개인전.
아무의 모과

김병호

내가 다 늙어 가는 사이

그믐 말고 초사흘쯤 지나는 달빛으로

한자리에 고이는 일도 없이

처마 끝 빈 새장처럼 움푹 패인 울음

음정과 박자를 잃은 거짓말

첫서리 같은 이름을 더듬는 마음의 바닥

잠시 슬펐다가 외롭다가 다시, 고요해지는 사이

뿔 달린 짐승의 눈망울처럼 새벽이 지고

애먼 이 하나 없는 먼 길이 앞에 놓이고

어느새 빈 뜰에 내리는 빗줄기를 쳐다보는 일처럼

새까맣게 닳아버린 당신의

창가에서, 혼잣말처럼 썩어가는 모과

‘아무도 없어요?’라고 할 때 아무는 특정하지 않은 누군가를 가리킨다. ‘아무’가 관형사로 쓰일 때는 없다, 않다, 못하다 같은 부정어와 자주 짝지어진다. 전혀 어떠하지 않다란 뜻이다. ‘아무의 모과’는 특별할 것이 없는 모과라는 뜻과 누군가의 모과라는 이중의 뜻을 품는다. 나는 “당신의 창가에서” 썩어 가는 ‘아무의 모과’를 떠올린다. 세월이 흘렀으니 아무렇지도 않을 법도 하련만, 당신은 아직 내 마음의 바닥에 남은 “첫서리 같은 이름”이다. 사랑을 사랑이라고 말하지 않고, “빈 뜰에 내리는 빗줄기를 쳐다보는 일”이라고 말한다. 오래 되어 아련한 사랑이란 게 이런 것인가.

장석주 시인
2017-10-21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