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올해 한반도 지진 110차례...“더 이상 안전 지대 아니다”

올해 한반도 지진 110차례...“더 이상 안전 지대 아니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7-10-06 09:20
업데이트 2017-10-06 09: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30일 오후 3시 34분쯤 제주 서귀포시 성산 동쪽 25㎞ 해역에서 규모 2.5의 지진이 발생했다. 큰 피해가 있었던 건 아니지만 올해 들어 9번째 지진이었다. 서귀포에서 자영업을 하는 김정엽(42)씨는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지진이 발생했다는 소식만 들어도 깜짝 놀란다”면서 “우리나라는 지진 안전지대인줄 알았는데 이렇게 많이 지진이 발생한 줄 처음 알았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한반도에서 110차례 지진이 발생했다. 규모 2.0 이상 지진만 집계한 것이다. 2013년 93차례 지진이 발생한 뒤로 2014년과 2015년 각각 49차례, 44차례로 크게 줄었지만 지난해 9월 12일 경주 지진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일부는 9·12 지진 이후 여진 탓이라고 하지만, 올해 들어 지진을 발생한 지역을 살펴보면 여진과는 다른 양상이다.

서울신문이 기상청의 올해 국내 지진 목록을 분석한 결과, 경북이 40차례로 가장 많았지만 북한 지역(18회)과 강원, 전남, 제주(각 9회) 등도 적게는 수 차례, 많게는 수십 차례 지진에 시달렸다. 충남, 경남, 전북, 인천, 충북 등에서도 땅이 흔들렸다. 사실상 한반도 전역이 지진 피해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한반도가 지진 빈발 지역은 아니지만 큰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환경은 아니다”고 경고한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지진 발생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뜻이지 ‘지진이 없다’라고 평가하는 건 곤란하다”면서 “앞으로 할 일은 잠재 발생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지진 잠재 지역을 미리 알고 대응하기는 쉽지 않다는 게 문제다. 지진의 진원이 깊을수록 찾아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해 경주 지진은 지하 11~16㎞에서 가로, 세로 5㎞의 단층면이 새로 만들어지면서 발생했다. 하지만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한반도 활성단층 지도 작업은 지표검사에 의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하검사가 함께 이뤄지지 않으면 제대로 된 분석이 나올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홍 교수는 “과거의 활성단층 지도 작업과 똑같은 방법을 반복해서는 지진을 예방할 수 없다”면서 “지하검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부터 찾아내는 게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전국적으로 진행되는 건물 내진 설계와 보강 작업에 대해서도 “단층이 존재하거나 역사적으로 큰 지진이 난 곳 등 차별적으로 내진 성능 기준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면서 “비효율적인 접근은 막대한 국민 혈세만 낭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