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뿌리깊은나무’ 한창기/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뿌리깊은나무’ 한창기/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9-27 23:50
업데이트 2017-09-28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1948년 10월 9일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2005년 폐지, 국어기본법으로 대체)이 공포됐다. 그렇지만 이 법은 오랫동안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거의 모든 출판물에서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쓰는 게 일반적이었고 큰 흐름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글 전용을 내세운 잡지가 나왔다.

1976년 3월 창간된 ‘뿌리깊은나무’는 상업 잡지로는 처음으로 가로쓰기에 한글로만 발행했다. 연월일도 아라비아숫자가 아니라 한글로 적었다.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잡지를 만들겠다는 의지의 반영이었다.

‘뿌리깊은나무’의 발행인 한창기(1936~1997)는 우리말에 관해서도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은 쉽고 바르게 철저히 고쳐야 했다. 뜻이 애매하게 전달되는 것도 싫어했다. 이런 이유로 ‘뿌리깊은나무’에서 의존명사 ‘등’은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뿌리깊은나무’ 편집장을 지낸 김형윤씨가 전한 말. “‘소 한 마리와 돼지 두 마리 등을 샀다’ 할 때의 ‘등’은 사람을 헷갈리게 한다. ‘소 1마리, 돼지 2마리’ 외에 다른 가축도 샀다는 말인지, ‘소 1마리와 돼지 2마리’ 외에 자질구레한 다른 물건들도 함께 샀다는 말인지, 그도 저도 아니고 ‘소 1마리와 돼지 2마리만’ 샀다는 말인지?”

한창기는 ‘훈민정음’의 정신에 따라 누구나 편하게 접할 수 있는 ‘공문서’를 만들고 싶어 했다.
2017-09-28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