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예술로 되살린 ‘동양의 美’

예술로 되살린 ‘동양의 美’

함혜리 기자
입력 2017-09-19 17:42
업데이트 2017-09-19 2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80년생 中 ‘바링허우’ 세대 대표작가 쑨쉰 한국서 첫 개인전

날개를 펄럭이며 하늘을 날던 말이 곤두박질치면서 지느러미를 달고 나타난다. 포효하던 호랑이는 어디론가 사라지고 용과 봉황, 사자의 형상을 한 동물들이 회오리를 뚫고 경복궁 근정전의 추녀마루에 올라타 세상을 감시한다.
중국 작가 쑨쉰의 한국 첫 개인전 ‘망새의 눈물’이 열리고 있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아라리오 갤러리 지하 전시장에 설치된 작품. 힘찬 필법으로 그린 형상들은 동서양 문화가 충돌하고 융합하는 것을 상징한다.
중국 작가 쑨쉰의 한국 첫 개인전 ‘망새의 눈물’이 열리고 있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아라리오 갤러리 지하 전시장에 설치된 작품. 힘찬 필법으로 그린 형상들은 동서양 문화가 충돌하고 융합하는 것을 상징한다.
중국 작가 쑨쉰의 한국 첫 개인전 ‘망새의 눈물’이 열리고 있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아라리오 갤러리 지하 전시장에 설치된 작품. 쑨쉰이 한국 전시를 위해 현장에서 작업한 7m 길이의 회화.
중국 작가 쑨쉰의 한국 첫 개인전 ‘망새의 눈물’이 열리고 있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아라리오 갤러리 지하 전시장에 설치된 작품. 쑨쉰이 한국 전시를 위해 현장에서 작업한 7m 길이의 회화.
중국 작가 쑨쉰(37)이 서울 북촌 아라리오 갤러리에서 발표한 영상작품 ‘망새의 눈물’에 나오는 장면들이다. 망새는 옛 건물의 추녀 끝에 놓이는 장식물로 화마 등 재앙으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시장에서 만난 작가는 “한국에서의 첫 개인전을 앞두고 어떤 작품을 보여줄지 고민하던 차에 옛 건축물 지붕 위에 있는 기이한 형상들을 보며 왜 거기에 그들이 있는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나름대로 해석해 한국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얘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쑨쉰은 덩샤오핑이 주도한 개혁개방으로 인한 변혁의 물결이 한창이던 1980년에 태어난 중국의 ‘바링허우’ 세대를 대표하는 작가다. 문화혁명을 직접 겪지는 않았지만 상흔을 목격했으며 사회주의 체제를 학습한 뒤 시장경제에 적응해야 하는가 하면 학교에서 배운 역사와 부모 세대로부터 구전된 역사 간의 괴리를 실감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이런 배경 탓인지 작가는 현실을 보는 시각이 매우 비판적이었다. 이번 전시의 주제이기도 한 ‘망새의 눈물’에 대해 그는 “동양 고유의 전통과 아름다움이 서양문물과 현대 문화의 영향으로 그 자리를 잃어가는 것을 아쉬워하면서도 그 슬픔을 또 다른 발전에 대한 기쁨으로 승화하는 것을 상징한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쑨쉰
쑨쉰
영상물 외에 전시장 지하에서는 3m가 넘는 크기의 거대한 생명체들을 먹으로 힘차게 그린 작품들을 선보였다. 고대 기서나 판타지 소설에나 나올 법한 이미지들이다. 먹이 아닌 잉크로 선을 그린 뒤 기존 안료에 효모 등 다양한 재료를 섞어 채색했다. 힘과 개성이 뚜렷하게 느껴진다. 트럼펫 머리를 한 봉황, 유니콘의 뿔을 가진 동물, 시계탑 모양의 머리가 달린 물고기 등의 형상에 서양 색채가 강한 오브제들이 결합된 것에 대해 작가는 “중국 작가라고 전통만 이야기하면 발전이 없다”면서 “세계사에 영향을 끼친 사건이나 물건을 결합해 상상 속의 동물을 형상화했다”고 말했다.

‘잡상’ 시리즈와 함께 놓인 ‘시아’는 중국과 한국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화난’ 부처를 그린 대형 작품이다. 전시장 한쪽 벽면에는 이번 전시를 위해 현장에서 그린 7m 길이의 대작이 설치됐다. 호랑이와 사냥꾼, 물고기 등을 통해 작가가 가진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담은 것이다.

작가는 북한, 몽골과 국경을 맞댄 랴오닝성의 광산마을에서 태어나 자랐고 15세에 그림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항저우로 옮겨 저명한 중국미술학원 부속 중등미술학원을 거친 뒤 중국미술학원 판화과를 졸업했다. 회화과에 비해 비교적 자유로운 판화과에서 그는 루쉰이 주도한 신목판화운동의 맥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한편 영상 작업을 진지하게 시작했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베이징에 설립한 ‘파이 스튜디오’와 함께 영상작업을 지속하며 작품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그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긴장된 한·중 관계에 대해 “크게 걱정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서로 다른 문화를 포용하는 것이 동양의 전통이며 그런 점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전시는 오는 11월 5일까지.

글 사진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09-20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