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에 팔아넘겼던 ‘분청사기 묘지’ 19년 만에 귀향

日에 팔아넘겼던 ‘분청사기 묘지’ 19년 만에 귀향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9-12 23:36
업데이트 2017-09-13 01: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세기 조선 문신 이선제 묘지

1998년 국내 밀매단 불법 반출
연대 분명·사기 위패 가치 높아
이선제 묘지 앞면.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이선제 묘지 앞면.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문화재 밀수꾼이 일본에 팔아넘겼던 15세기 조선 묘지가 20여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국내 밀매단이 1998년 6월 김포공항을 통해 일본으로 불법 반출했던 조선 전기 문신 이선제(1390~1453)의 묘지(墓誌·망자의 행적을 적어 무덤에 묻은 돌이나 도판)가 환수됐다고 12일 밝혔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이선제의 광주 무덤에서 알 수 없는 시기에 도굴됐다 일본으로 건너간 묘지를 소장자 도도로키 구니에(76)씨를 설득해 지난달 24일 국내로 들여왔다. 유물은 소장자의 뜻에 따라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됐다.

묘지는 단종 2년(1454)에 상감 기법의 분청사기로 만들어졌다. 높이 28.7㎝, 장폭 25.4㎝로 앞뒷면과 측면에 이선제의 생몰년과 행적, 가계 관련 내용의 명문이 248자로 새겨져 있다. 이선제는 조선 세종 때 사관으로 ‘고려사’를 수정하고, 집현전 부교리로 태종실록을 편찬했다. 강원도 관찰사, 호조참판 등 고위관직을 두루 거쳐 문종 때는 예문관제학(종2품)에 오른 조선 전기 호남의 역사적인 인물이다.

이선제 묘지는 현재 국내에 전하는 분청사기 묘지 4점이 보물로 지정돼 있어 보물급 유물로 평가된다.

이수경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연구관은 “묘지를 만드는 데 쓴 흙과 유약의 색이 15세기 중반 제작된 분청사기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제작연대도 분명하고 사기로 된 위패 형태가 드물기 때문에 가치가 높다”고 했다.
지난달 22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증식에서 소장자 도도로키 구니에(왼쪽)씨가 김흥동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사무총장에게 묘지를 전달하고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지난달 22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증식에서 소장자 도도로키 구니에(왼쪽)씨가 김흥동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사무총장에게 묘지를 전달하고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이번 환수는 2014년 10월 일본 문화재 유통실태를 조사하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일본 고미술상의 소개로 묘지의 존재를 알게 되면서 소장자인 도도로키 다카시(2016년 작고)씨와 부인 구니에씨를 수차례 설득한 끝에 이뤄졌다.

기증자 구니에씨는 “묘지 기증으로 한·일 양국 사이에 신뢰와 정이 돈독해지길 바란다”며 “남편은 일본인과 한국인 모두 조상을 섬기는 마음이 있다는 점에서 이선제 묘지에 예술적 가치 이상의 중요성이 있다고 말해 왔다”고 기증 이유를 밝혔다.

그는 “묘지에 새겨진 이선제 다섯째 아들이 조선통신사를 이끌고 일본으로 오던 중 쓰시마에서 병을 얻어 순직한 사실을 들었는데 이제 그분의 혼이 무사히 임무를 마치고 묘지와 함께 한국으로 돌아가는 셈이다. 한국의 후손들이 조상을 더욱 잘 모실 수 있길 바란다”는 바람도 전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기증자를 초청해 오는 19일 오전 10시 교육관에서 유물 설명회를 연다. 묘지는 2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조선실에 전시된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9-13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