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욱의 파피루스]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해답

[서동욱의 파피루스]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해답

입력 2017-09-08 17:52
업데이트 2017-09-09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는 늘 해답을 가지고 싶어 안달이다. 높은 성적을 얻을 수 있는 해답, 직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해답 등등. 우리는 이런 해답을 향한 편리한 최단 거리에 목말라 한다. 그래서 옆 사람이 만들어 놓은 답을 슬쩍 가져다 써 본다. 남의 공부 방법을 모방해 보기도 하고, 각종 노하우를 수집해 보기도 한다.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그런데 ‘이것이 정답’이라고 남들이 자랑하는 게 내 경우엔 잘 적용되지 않는다. 도무지 왜 정답이라고 하는지조차 이해되지 않는다. ‘해답’을 주제로 한 소설이 있다. 개그를 우주적 차원의 교향시처럼 읊고, 터무니없음이 대단한 예술이 될 수 있음을 보인 걸작이 더글러스 애덤스의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다. 이 작품의 골격을 이루는 이야기가 바로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해답’이다.

아득한 옛날 우주에서 두 번째로 똑똑한 컴퓨터인 ‘깊은 생각’에게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해답’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진다. 컴퓨터는 750만년 동안 연산한 뒤 답을 주면서 답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답은 ‘42’. 사십이가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해답’이라는 것이다. 해답은 얻었지만 도무지 왜 42가 해답인지 이해할 수 없다. 컴퓨터는 말한다. 제대로 된 질문을 던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그러면서 제대로 된 질문을 찾기 위해 새로운 컴퓨터를 만들 것을 제안하는데, 그 컴퓨터가 바로 ‘지구’다. 해답이 아닌 질문을 찾기 위한 컴퓨터인 지구는 오랜 세월 그 질문을 연산해 내고 마침내 출력 직전에 도달한다. 지구는 과연 제대로 된 질문에 도달했을까? 소설을 직접 읽어 보며 확인하고 싶은 독자들을 위해 함구하겠다.

이 이야기는 제대로 된 질문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설령 해답이 주어지더라도 그것은 호두알처럼 꼭 닫힌 채 우리의 이해를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늘 성급하다. 그래서 남이 찾은 답안을 빌려다 빨리 사용해 보려는 유혹을 떨치지 못한다. 성공적인 사업의 해답, 공부의 해답을 찾아 이리저리 몰려다닌다. 그런데 남들이 찾아낸 해답이 자기 자신에게도 꼭 맞던가? 얼마간 참고는 될지 몰라도 결코 자신을 위한 해답은 되지 못할 것이다.

왜 그런가? 해답이란 그 해답을 얻어 낸 질문과 뗄 수 없이 연결돼 있으며, 따라서 활짝 핀 꽃송이를 꺾어 가지듯 해답만을 똑 따낼 방법은 없기 때문이다. 해답이란 문제로부터 필연적으로 도출되는 결과다.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가 해답의 범위와 성격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는 각자가 앓는 저만의 질병처럼 각자의 삶으로부터만 피어 오른다.

가령 프랑스 작가 클로드 시몽은 자신의 문체에 대한 고민에 빠졌을 때 미국 작가 윌리엄 포크너의 소설을 접하고서 어떻게 문체를 구사해야 하는지 해답을 찾았다. 포크너의 소설은 클로드 시몽 이전에도 읽혔고 그 이후에도 읽히고 있지만, 모든 사람이 아니라 오로지 자신만의 문제를 가지고 있던 시몽에게만 해답이 돼 주었던 것이다. 러시아 민요는 많은 사람의 귀에 울려 퍼졌지만, 교향곡을 작곡하며 악상에 대한 고민에 빠졌던 베토벤에게만 해답이 돼 민요조의 분위기를 지닌 7번 교향곡의 4악장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해답은 널려 있지만, 제대로 된 문제를 가진 사람의 눈에만 보이는 것이라 아무런 문제의식 없는 빈털터리가 그것을 집어 들면 그저 돌멩이, 아니면 영문 모를 ‘42’라는 숫자로만 나타난다.

소설로 돌아가 보자.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해답’이 문제이기나 한 것인가? 이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문제는 모든 것을 노력 없이 단번에 알아내겠다는 미련한 욕심의 표현에 불과하다. 마치 전혀 공부하지 않은 젊은이가 침대에 빈둥거리며 누워 내일 시험에서 100점 맞을 궁리를 하는 것처럼.

저 질문의 정답은 확실히 42이다. 그러나 질문을 자신의 삶에서 절실하게 피워 내지 못한 이에게 질문은 추상적인 남의 질문이며, 따라서 해답 역시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저 거대한 문제가 제대로 된 질문의 모습이 되기 위해선, 의미심장하게도 지구라는 컴퓨터가 자신의 장구한 전 역사를 조금도 건너뛰지 않고 하나하나 몸소 체험해야 했던 것이다.
2017-09-09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