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둘이 벌어도 남는 게 없네… 시원찮은 맞벌이

둘이 벌어도 남는 게 없네… 시원찮은 맞벌이

입력 2017-09-06 21:10
업데이트 2017-09-06 2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균 소득 547만원 vs 369만원…외벌이와 격차 6분기 만에 최저

초등학생 자녀를 둔 회사원 김모씨는 요즘 맞벌이 포기를 심각하게 고민 중이다. 애들 학원비라도 보태려고 부부가 악착같이 함께 벌고 있지만 ‘이모님’(보모) 월급 주고 나면 손에 남는 게 사실상 없다. 맞벌이를 하다 보니 집안은 아침저녁 그야말로 전쟁터다. 이런 식이면 차라리 아이들이 제 앞가림을 할 때까지는 혼자 버는 게 낫겠다 싶다.
맞벌이 가구와 홑벌이 가구의 소득 격차가 6분기 만에 가장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질 악화 등으로 맞벌이 가구 중 부(副)소득자의 소득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맞벌이 가구의 평균 소득은 547만 3000원이다. 맞벌이가 아닌 가구(369만 3000원)의 1.48배다. 이는 2015년 4분기(1.48배) 이후 가장 근소한 격차다. 특히 근로소득자 가구의 격차가 더 크게 좁혀졌다. 맞벌이 근로소득자 가구와 맞벌이 외 근로소득자 가구의 소득 격차는 올 1분기 1.85배였으나 2분기에는 1.70배로 뚝 떨어졌다.

통계청 측은 “상대적으로 양질이라고 평가받는 제조업 일자리가 4, 5월에 연속으로 감소한 반면 저임금 서비스업 일자리는 늘었다”면서 “맞벌이 중 부소득자가 더 낮은 임금의 일자리로 이동했거나 임금이 줄면서 (외벌이 가구와의) 소득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6월 상용직과 임시·일용직 간 임금 격차는 206만 1000원으로 1년 전보다 2.3% 커졌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9-07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