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일장기 말소’ 이길용 기자 흉상으로 부활

‘일장기 말소’ 이길용 기자 흉상으로 부활

임병선 기자
입력 2017-08-24 17:58
업데이트 2017-08-24 18: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기정 사진서 지워 일제 항거…오늘 서울 손기정공원서 제막

81년 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을 제패하며 한국인의 기상을 떨친 손기정(1912~2002) 선생과 그의 가슴에서 일장기를 지우며 일제에 저항한 이길용(1899∼?) 기자가 다시 만난다.
이길용(1899∼?) 기자
이길용(1899∼?) 기자
한국체육언론인회(회장 이종세)와 한국체육기자연맹(회장 정희돈)은 25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만리동 손기정공원과 손기정기념관에서 이 기자의 흉상을 제막하고 그의 시대정신을 돌아보는 포럼을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손 선생은 1936년 8월 9일 베를린올림픽 스타디움 결승선을 2시간29분19초에 들어와 우승했다. 작은 체구의 동양인이 맨 먼저 결승선을 끊은 데 세계가 경악했다. 아시아인 최초의 올림픽 마라톤 제패였지만 손 선생의 윗옷에는 일장기가 선명했다. 손 선생은 월계수로 일장기를 가렸고 시상식 내내 기뻐하지도 않았다. 동메달을 목에 걸었던 남승룡(1912~2001) 선생은 월계수로 일장기를 가릴 수 있었던 손 선생이 그렇게 부러울 수 없었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

국내 신문도 10일자 호외로 첫 소식을 전했다.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는 13일자에 앞서거니 뒤서거니 일장기를 지웠다. 조선중앙일보는 손 선생과 남 선생의 일장기를 모두 지운 반면, 동아일보는 손 선생 것만 지웠다. 인쇄가 좋지 않아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동아일보 25일자 2면에 다시 실린 같은 사진의 인쇄가 선명해 일제에 발각돼 이길용 사회부 체육주임과 이상범 화백, 현진건 사회부장 등이 한 달 동안 치도곤을 치렀다. 일제는 곧바로 무기 정간했다가 이듬해 6월 2일에야 복간시켰다. 해직됐던 이 기자는 광복 후 복직했으나 1950년 7월 납북된 뒤 돌아오지 못했다. 3남이자 대를 이어 체육기자로 일했던 이태영(76) 체육언론인회 자문위원장은 “생사를 알 수 없는 데다 유해가 없어 묘소도 쓰지 못했다. 아버지의 뜻을 기리는 비석 하나 세우는 게 소원이었는데 흉상이 세워진다니 감격스럽다”고 말했다.

중견 조각가 이용철(57)씨가 제작한 청동 흉상은 높이 90㎝, 가로 64㎝, 세로 35㎝로 실제의 1.3~1.4배 크기로 세워진다. 손 선생의 외손자인 이준승(50) 손기정기념재단 사무총장은 “이 기자의 흉상을 마땅히 계셔야 할 곳에 모시게 돼 기쁘고 할아버지도 기뻐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7-08-25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