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바람직한 공공미술이란/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바람직한 공공미술이란/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함혜리 기자
입력 2017-08-16 17:56
업데이트 2017-08-17 18: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탈리아 베네치아, 독일의 카셀과 뮌스터에서 현대 미술의 빅이벤트가 동시에 열리고 있다. 2년마다 열리는 베니스비엔날레, 5년마다 열리는 카셀 도쿠멘타, 10년마다 열리는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10년 만에 한 번 찾아오는 기회인 만큼 놓치고 싶지 않은 마음에 세 개의 미술축제를 모두 돌아보는 ‘그랜드아트투어’ 대열에 동참했다.
이미지 확대
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베니스비엔날레는 이전에 취재한 경험이 있지만 카셀과 뮌스터를 ‘100일간의 미술관’으로 만드는 도쿠멘타와 조각 프로젝트는 처음이어서 기대가 컸다.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특히 더 했다. 강산이 변한다는 세월인 10년을 주기로 하는 행사가 어떻게 지속될 수 있는 건지, 인구 30만이 채 안 되는 보수 성향이 강한 도시가 어떻게 그런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실험적인 공공미술 행사를 이끌어 가는지, 단지 5차례의 행사가 열렸을 뿐인데 뮌스터를 ‘공공미술의 성지’로 만든 성공 비결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뮌스터 시내 곳곳에 자리 잡은 공공미술 작품들 자체가 그 답이었다.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는 행사 때마다 반응이 좋은 작품을 구입해 퍼블릭 컬렉션으로 시내 공공장소에 영구 설치하는 방식을 취한다. 도시 곳곳에 설치돼 도시의 풍경을 이루고 있는 작품들을 보면 예술이 도시인의 일상에서 어떻게 수용되는지를 목도할 수 있었다. 화려하지 않으면서 딱 그 장소에 어울리는 작품들은 호숫가, 공원, 대학 캠퍼스, 버스 정류장, 어린이 놀이터, 건물 사이의 작은 광장 등 시민들이 생활하는 일상의 공간에 원래부터 있었던 듯이 자연스럽게 흡수돼 있었다. 그런가 하면 도널드 저드, 다니엘 뷔랭, 클래스 올덴버그 등 대가들의 작품은 평범한 공간과 환경을 특별하게 만들어 주었다. 바람직한 공공미술이 무엇인지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지만, 뮌스터시는 ‘일상성과 특별함의 조화’를 해답으로 제시한 셈이다.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가 현대 추상조각에 대한 뮌스터 시민의 반발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상기하면 공공 공간과 예술의 공공성 문제를 놓고 40년 동안 끈기 있게 시민들을 설득한 뮌스터시의 뚝심이 참 대단하다. 뮌스터시와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의 큐레이터인 카스퍼 쾨니히의 존재도 많은 것을 시사한다. 쾨니히는 뮌스터 시민들에게 현대 미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열린 첫 회부터 5회째인 이번까지 40년 동안 조각제를 이끌어 오고 있다. 쾨니히는 공공미술을 기획하고 설치하는 데 예술도 중요하지만 그 작품이 놓이는 장소적 특성과 공간의 역사성, 그리고 받아들이는 대중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간과하지 않았다. 예술작품이 삶의 공간에 녹아들고, 그럼으로써 삶의 공간이 예술이 된 공공미술의 도시는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쯤에서 우리의 공공미술은 어떤지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흉물’들이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길거리, 건물 앞, 광장, 교각 등 공공장소에 수없이 서 있다. 얼마 전 서울역 앞에 설치됐던 ‘슈즈트리’처럼 눈 뜨고 다니는 사람들에 대한 폭력 수준인 경우가 허다하다. 시민들의 수준과 취향, 장소적 맥락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말뿐인 공공미술은 이제 그만 보고 싶다.

lotus@seoul.co.kr
2017-08-1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