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수능 절대평가 부작용 보완책은 있나

[사설] 수능 절대평가 부작용 보완책은 있나

입력 2017-08-10 22:46
업데이트 2017-08-11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가 어제 공개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안의 골자는 절대평가 확대다. 올해 중학교 3학년생들이 치를 2021학년도 대입 개편 시안은 크게 두 가지로, 공청회를 거쳐 오는 31일 최종 확정된다. 적용 범위의 차이가 있을 뿐 절대평가 대폭 확대는 이미 확정된 사실이다.

수능 절대평가는 문재인 대통령의 주요 교육 공약이다. 시안대로라면 영어와 한국사 등 현행 2개 과목에만 적용되는 절대평가는 최소 4개 과목, 아니면 7개 전 과목으로 확대된다.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줄여 창의적 교육으로 유도한다는 것이 절대평가의 취지다. 1, 2점에 매달려서는 황폐한 교육 현실을 벗어날 수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전임 정부에서 지난해와 올해부터 각각 한국사와 영어를 수능 절대평가로 전환했으나 긍정적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다. 영어 영역의 절대평가가 사교육을 크게 줄일 거라고 장담했지만, 그런 변화를 체감한다는 학부모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지난 6월 고3 모의고사에서 영어 1등급(4만 2183명)은 서울 지역 10개 주요 대학의 모집 인원(3만 3652명)보다 훨씬 많았다. 영어 변별력이 이런 수준이니 국어, 수학 등 다른 과목의 난이도는 전부 높아지는 추세다. 인문계든 자연계든 내년 입시에서는 국어가 당락의 열쇠라는 말이 정설로 통할 정도다. 이런 풍선효과로는 학생들의 학업 부담과 경쟁은 크게 개선되기 어렵다. 불안하니 원래의 학습량은 유지한 채 당락의 결정적 변수가 되는 과목에 더 치중하는 부담만 짊어질 우려가 없지 않다.

교육부는 수능 절대평가 범위를 정하는 것이 발등의 불이다. 학생과 학부모들은 그게 전부가 아니다. 절대평가 확대로 수능 변별력이 떨어지는 만큼 당장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비중이 커진다. 이미 ‘깜깜이 불공정 전형’이라는 불신을 받는 것이 학종이다. 그 불신의 구멍을 어떻게 메울지 교육부의 고민이 보이지 않으니 교육 현장은 불안하기 짝이 없다. 기회의 공정성도 천번 만번 따져야 한다. 학생부 성적이 낮은 학생이나 검정고시생들은 입시 기회가 원천 봉쇄되는 위기에 몰렸다.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으로 교육부는 여론을 깊고 넓게 수렴해야 한다. 방향과 정답을 미리 정해 놓고 밀어붙이는 일방 정책의 과오는 용납될 수 없다. 정책의 대상은 저항할 힘이 없는 학생들이다.

2017-08-1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