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문학상 수상을 축하하지 않습니다/김홍민 북스피어 대표

[문화마당] 문학상 수상을 축하하지 않습니다/김홍민 북스피어 대표

입력 2017-07-26 17:26
업데이트 2017-07-27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5년에 출판사를 차리고 가장 먼저 계약한 작가 중 한 명이 미야베 미유키다. 나는 이 작가에게 푹 빠져 있었다. 데뷔작부터 차근차근 내고 싶었다. 그래서 한꺼번에 여러 타이틀을 계약했다. 당시만 해도 국내에서 인지도가 높지 않은 관계로 한국어판 출간은 수월하게 진행됐다. 이듬해 일본에서 ‘이름 없는 독’이 나왔을 때도 이렇다 할 걱정은 하지 않았다. 왜냐면 북스피어에서 출간한 ‘누군가’의 속편이었기 때문이다. 주인공이 같다. 원서에도 시리즈임이 명시돼 있었다.
김홍민 북스피어 대표
김홍민 북스피어 대표
한데 미야베 미유키 작가가 ‘이름 없는 독’으로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상을 수상하자 껄끄러운 상황이 전개됐다. 한국 출판사들끼리 판권 경쟁이 붙은 것이다. 각자 더 높은 선인세로 ‘베팅’을 시작했다.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 그 뒤로도 몇 번인가 비슷한 경험을 했다. 문학상만 받으면 경쟁이 붙고 선인세가 뛰어 이만저만 곤혹스러운 게 아니었다. 이후로 좋아하는 작가의 수상 소식이 들리면 축하하는 마음이 생기기 전에 덜컥 겁부터 났다. 문학상 자체에 대해서는 ‘그야말로 비즈니스 아닌가’ 하고 생각했다.

한강 작가가 맨부커 국제상을 받았을 때 시큰둥했던 것도 비슷한 맥락이었다. 맨부커상과 맨부커 국제상이 다르다는 것도 몰랐다. 책 좀 팔아 보려고 비즈니스 차원에서 만든 상이라 여겼다. 아니면 노벨상처럼 월드 챔피언십 같은 아우라를 가지고 있지만 실은 유럽 편향적이며 대륙별 안배 차원에서 가끔 아시아권에도 한 번씩 나눠 주는 상이겠거니 생각했다. 요컨대 잘 알지 못하면서 삐딱하게 본 것이다.

그런 와중에 ‘문학상 수상을 축하합니다’를 읽고 이제라도 알토란 같은 지식을 기반으로 이러쿵저러쿵 뒷말을 할 수 있게 됐으니 다행이라고 할까. 맨부커상은 프랑스의 콩쿠르상에 대항해 영국에서 만든 상이다. 자국 작가들에게만 주다가 2014년부터는 영어로 쓰인 작품이면 국적에 상관없이 후보가 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했다. 한 번 받은 작가가 다시 받을 수 있다는 점, 다양한 직업을 가진 선정 위원들이 최종 후보작만 읽는 게 아니라 백 권 이상의 후보작을 전부 읽어야 한다는 점 등이 여타 문학상과 달리 돋보이는 점이다.

맨부커 국제상은 맨부커상을 보완하자는 차원에서 2005년에 만들어졌다. 문학을 계몽의 수단으로 삼는 듯한 노벨문학상과 비교하면 순수하게 실력만을 고려하는 맨부커 국제상 쪽의 선정이 더 신뢰할 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6년부터는 영어로 번역된 작품에 매년 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상금이 작가와 번역가에게 분배되는 것도 훌륭한 점이다. 영광스러운 첫 수상 작품은 한강의 ‘채식주의자’다”라고 ‘문학상 수상을 축하합니다’의 저자인 도코 고지는 적고 있다.

이렇듯 맨부커상에 대해 상찬을 늘어놓던 저자가 자국의 문학상인 아쿠다가와상이나 나오키상에 대해서는 선정 기준이 모호하다든가 심사위원이 작가만으로 구성된다는 모순을 가진다든가 “일본은 아시아인데도 유럽의 일부라는 망상을 갖고 있으며 그 분열이 이 두 상에 드러나 있다”는 식으로 냉정하게 평가하니까 이게 또 꽤나 설득력 있게 들렸다. 세계의 각종 문학상에 대한 정보를 담는 동시에 수상작과 나란히 ‘어째서 이 작품이 수상하지 못했는가’에 대한 평가가 담백하게 서술돼 있다는 점도 이 책의 미덕이다. 덕분에 읽고 싶은 책이 잔뜩 생겼다는 건 좋은 점인지 나쁜 점인지 모르겠지만.

2017-07-27 3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