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차기작 소재는 ‘인삼’…땅·순환·환경 다룰 겁니다”

“차기작 소재는 ‘인삼’…땅·순환·환경 다룰 겁니다”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7-07-24 20:48
업데이트 2017-07-24 2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화가의 만화가’ 크레이그 톰슨

“저는 그렇게 자신감이 있는 작가가 아니에요. 그래서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인간이 살아가는 목적은 무엇인지 작품을 통해 질문을 던지는 것 같아요. 물론 답은 평생 찾아가야 하겠죠.”

깊이 있는 그림에 성찰적인 이야기를 담는 크레이그 톰슨(42)은 ‘만화가의 만화가’이자 ‘젊은 거장’이다. 2003년 자전적인 이야기를 녹인 그래픽노블 ‘담요’가 미국 주간지 ‘타임’이 꼽은 최고의 만화에 선정되고 하비상, 아이스너상, 이그나츠상 등 미국에서 내로라하는 주요 만화상을 휩쓸었다. 국내에도 작품 대부분이 출간됐을 정도로 독자층이 탄탄하다.
이미지 확대
만화가 크레이그 톰슨
만화가 크레이그 톰슨
●美 만화계 권위 있는 상 휩쓴 젊은 거장

지난 23일 폐막한 제20회 부천국제만화축제의 초청으로 처음 한국을 찾았다. 만화가의 빛나는 20대 청춘을 조명한 주제전에서 데뷔작 ‘안녕, 청키 라이스’(1999)를 준비할 당시에 그린 스케치 등을 선보였다. “만화가가 된 지 어느새 20년이 흘렀네요. 이번 축제가 20회라 반갑더라고요. 20대는 그런 것 같아요, 젊은 아티스트로서는 고통스럽지만, 한편으론 순수함을 간직한 시기죠. 40대가 되니 그때의 순수함과 열정들이 다소 퇴색하고, 창작에만 몰두하지도 못하고, 영감을 얻는 게 힘들어진 점이 아쉽네요.”

‘담요’에 나오는 것처럼 학교에서 따돌림당하고, 엄격한 기독교 가정에서 훈육되며 쉽지 않은 유년 시절을 보냈던 그는 “(한국 청소년들도) 학교와 집이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 고립된 채 나만 이상한 존재라고 느낄 때가 많겠지만 더 큰 세상에 나가면 나와 비슷하고 공유할 부분이 많은 사람들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를 고집하는 작가다. 만화가라는 직업을 수제화를 만드는 장인에 비유하기도 했다. 내년 초 국내 출간 예정인 ‘스페이스 덤플린’(2015)에서 어린이 독자를 감안해 컬러 만화를 시도했지만 원체 흑백(모노크롬)을 선호하기도 한다. “종이에 인디언 잉크(서양 먹물)와 붓으로 그리는 작업을 좋아합니다. 모노크롬이 더 친근하게 이야기를 전달한다고 생각해요. 만화 속 글도 직접 손글씨로 적어 넣는데, 작가의 색깔을 보다 잘 전달하는 방법이기 때문이죠.”

●“한국서 처음 접한 웹툰 플랫폼 매력”

한국에 와서 처음 접한 웹툰은 매력적인 플랫폼이라는 인상을 받았다고 했다. “책이나 잡지 독자가 줄고 있어 웹툰을 통해 만화 독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좋은 일 같아요. 영화도 스마트폰으로 보는 세상이라 디지털화한 만화도 필요하겠지만, 그것만 있어서는 안 되고 전통적인 방식의 종이 만화까지 두 가지 포맷이 공존해야 한다고 봅니다.”

현재 동양의 수묵화에서 영감을 찾고 있다는 그는 차기 프로젝트가 인삼에 대한 이야기라고 언급해 귀를 솔깃하게 만들었다. 고향인 위스콘신의 농부들이 인삼 경작을 한 적이 있어 익숙하다고 한다. 한국에 온 김에 인삼에 대한 자료를 더 찾아볼 예정이라고. “인삼을 소재로 땅과 농경, 자연의 순환, 환경 문제 등을 다룰 계획입니다.”

스케치 형식의 여행기를 제외하면 지난 20년간 내놓은 작품은 불과 네 편. 정말 과작(寡作)이다. ‘담요’에서 ‘하비비’까지 무려 8년이 걸리기도 했다. 차기작은 언제 만날 수 있을까. “최근 2년간 홍보 행사도 하고, 여행하고, 이렇게 만화 축제도 다니느라 한곳에서 진득하게 작업에 몰두하기 힘들었어요. 9월쯤 본격적으로 시작하지 않을까 싶네요. 2020년 전에는 나오지 않을까요?”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07-25 2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