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최저임금과 프리터족/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최저임금과 프리터족/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7-07-21 17:42
업데이트 2017-07-21 17: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친구는 대학 졸업 후 한 번도 번듯한 직장을 가진 적이 없다. 방송 작가로 2년여 일한 것이 경력의 전부다. 하지만 그는 지금까지 아르바이트조차 하지 않는다. 그의 아버지가 마련해 준 아파트에서 살면서 생활비는 어머니로부터 매달 받는다. “50대 중반까지 부모에게 ‘빨대’를 꽂고 산다”는 뒷담화를 듣지만 그 자신은 스스로를 작가라고 생각한다.
이미지 확대
베스트셀러 작가 혹은 친구처럼 부모 잘 만난 이들 아니면 작가들 대다수가 전업작가를 포기하고 생활 전선에 나선다. 지난해 일본 최고 권위의 문학상인 아쿠타가와상 수상자인 무라타 사야카는 19년째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그는 편의점에서 일한 경험을 살려 쓴 소설 ‘편의점 인간’으로 상을 탔다. 그가 지금도 편의점 알바를 하는 것은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서라고는 할 수 없게 됐지만 수상 전 그의 상황은 달랐다.

일정한 직업 대신 편의점 점원처럼 아르바이트 등 임시직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프리터족’이라고 한다. 프리터족은 영어의 프리(자유)와 독일어의 아르바이터(노동자), 한자 족(族)의 합성어로 일본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다. 직업에 얽매여 규칙적인 생활을 하기보다는 일정한 돈을 모으면 자유롭게 취미생활을 하고, 다시 돈이 떨어지면 새 알바를 구하는 자발적 프리터족이 일본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급증했다.

지금 우리나라는 직업난으로 인한 비자발적 프리터족들이 많다. 작년 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20세 이상의 30%가 자신이 프리터족이라고 응답했다. 이들은 주로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주유소 등에서 일한다. 최근 일자리를 잃은 중장년층들도 프리터족 대열에 섰다. 이제는 알바 자리를 놓고도 청년층과 중장년층이 경쟁해야 하는 현실이다.

정부가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1060원 오른 7530원으로 결정하면서 본격적으로 프리터족 시대가 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하면 월 157만원 정도의 수익이 나오니까 아예 취업을 포기하고 알바를 직업 삼아 살아가려는 이들이 늘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최저임금 인상은 알바로도 생활의 안정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고용이 불안한 알바를 전전하다 보면 실업률 상승, 전문인력 부족, 결혼과 출산 기피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국가에 내는 각종 세금, 연금 등의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일본 정부가 프리터족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려고 나선 이유다. 최저임금 상승의 역설이 아닐 수 없다.
2017-07-22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