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리뷰>전쟁이 지나간 뒤 찾아온 거짓말과 죄책감···영화 ‘프란츠’

<리뷰>전쟁이 지나간 뒤 찾아온 거짓말과 죄책감···영화 ‘프란츠’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7-07-13 17:52
업데이트 2017-07-13 1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랑소와 오종 신작, 20일 개봉···작년 베니스 신인여우상 수상

영화 ‘프란츠’의 한 장면.
영화 ‘프란츠’의 한 장면.
프랑소아 오종의 신작 영화 ‘프란츠’는 전쟁이 끝난 뒤 남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감독인 오종이 독일 출신 에른스트 루비치의 고전 ‘내가 죽인 남자’(1932)를 리메이크 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독일의 작은 마을. 안나는 전쟁터에서 숨진 약혼자 프란츠를 잊지 못한다. 마을의 아버지들은 술집에 모여 “프랑스인이 내 아들을 죽였다”며 분노를 토로한다. 이곳에 한 프랑스 남자가 찾아온다. 바로 아드리앵이다. 안나는 프란츠의 묘지에서 눈물을 흘리는 프랑스 남자를 궁금해한다. 그는 왜 독일의 후미진 마을까지 왔을까. 프란츠를 닮은 아드리앵을 보며, 안나와 프란츠의 가족들은 상처를 치유한다. 또 프란츠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총을 쥐어준 우리의 잘못도 있다”며 “프랑스의 아들들도 죽었다”고 말한다.

딱 여기까지 오종은 원작의 줄거리를 따라간다. 그러나 ‘프란츠’ 속 아드리앵은 돌연 프랑스로 떠나고, 안나는 그를 쫓아 프랑스로 향한다. 오종은 “‘내가 죽인 남자’가 비밀을 간직한 프랑스 남자가 느끼는 죄책감에 중점을 뒀다면 나는 반대로 상실감을 가진 독일 여자와 그녀에게 찾아온 거짓말, 그리고 그녀의 흔들리는 감정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파격적인 소재를 고급스럽게 연출해 온 오종은 이 작품을 통해 클래식 멜로 드라마에 처음 도전했다. 영화는 흑백과 파스텔톤 컬러로 100여년 전을 되살린다. 오종은 “플래쉬백 기법을 사용할 때나, 거짓말을 하는 순간 또는 행복한 순간의 장면에 색감을 입혔다. 흑백 장면으로 역사적 아픔을 애도했다”고 밝혔다.

독일의 신예 배우 폴라 비어는 섬세한 표정으로 흔들리는 안나를 보여준다. 비어는 이 영화로 지난해 베니스영화제 신인여우상을 수상했다. 아드리앵은 ‘이브 생 로랑’(2014)의 타이틀롤로 얼굴을 알린 프랑스 배우 피에르 니네이가 맡았다. 니네이는 “이 영화는 내게 모험이자 도전이었다. 아드리앵이 되기 위해 바이올린과 왈츠, 독일어까지 배웠다”고 말했다. 20일 개봉. 12세 관람가.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