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쾌적한 주거문화 누리는 ‘한남더힐’, 초고층 주상복합과 차별화 이루며 ‘눈길’

쾌적한 주거문화 누리는 ‘한남더힐’, 초고층 주상복합과 차별화 이루며 ‘눈길’

입력 2017-07-07 10:10
업데이트 2017-07-07 1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남더힐은 이 같은 인기는 쾌적하고 고즈넉한 주거문화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것과 연관성이 높다. 언덕을 따라 12층짜리 건물부터 3층짜리 건물 32개 동이 전체 단지를 이루고 있어 흡사 단독주택 단지를 연상시킨다. 부지면적은 13만㎡에 달하지만 용적률은 120%로 낮아 서울 도심에서는 보기 드물게 단지 내 조경면적이 36%에 이른다.
한남더힐은 이 같은 인기는 쾌적하고 고즈넉한 주거문화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것과 연관성이 높다. 언덕을 따라 12층짜리 건물부터 3층짜리 건물 32개 동이 전체 단지를 이루고 있어 흡사 단독주택 단지를 연상시킨다. 부지면적은 13만㎡에 달하지만 용적률은 120%로 낮아 서울 도심에서는 보기 드물게 단지 내 조경면적이 36%에 이른다.
전 세계적으로 고가아파트의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영국의 부동산 컨설팅업체가 최근 발간한 ‘2017 부자 보고서(The Wealth Report)’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 고가아파트의 가격은 지난해 27.4% 상승했다. 베이징, 광저우 내 고가아파트도 26.8%, 26.6%나 올랐다. 우리나라도 서울시가 고가아파트의 가격이 16.61%나 뛰어 4번째로 상승폭이 큰 도시에 이름을 올렸다.

우리나라도 역시 마찬가지다. 현재 국내 최고가 공동주택은 흔히들 떠올리는 잠실 롯데월드타워 ‘시그니엘 레지던스’나 성수동 ‘갤러리아포레’와 같은 초고층 주상복합이 아닌,지상 3~12층 규모로 지어진 용산구 한남동의 ‘한남더힐’이다.

지난해 12월 ‘한남더힐’ 전용면적 244㎡는 82억 원에 거래돼 대한민국 최고가 아파트 자리를 꿰찼다. 게다가 지난해 30억원 이상 초고가 주택 거래량의 절반 이상이 ‘한남더힐’이였다.

한남더힐은 이 같은 인기는 쾌적하고 고즈넉한 주거문화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것과 연관성이 높다. 언덕을 따라 12층짜리 건물부터 3층짜리 건물 32개 동이 전체 단지를 이루고 있어 흡사 단독주택 단지를 연상시킨다. 부지면적은 13만㎡에 달하지만 용적률은 120%로 낮아 서울 도심에서는 보기 드물게 단지 내 조경면적이 36%에 이른다. 이는 좁은 대지면적에 높게 올라가는 초고층 주상복합과 가장 차별화 되는 점이다. 실제 도곡동 ‘타워팰리스 1~3차’의 용적률은 800~900%대 롯데 ‘시그니엘 레지던스’는 540%대에 이른다.

동별로 주차장이 따로 조성된 것은 물론, 예술조형물을 활용한 테마공원 역시 30개의 동마다 따로 조성돼 있다. 세계적인 조각가 베르나르 브네의 조각품, 린 채드윅, 쿠사마 야요이를 비롯해 국내외 현대 작가의 작품 30여점이 단지 곳곳에 설치돼 있다. 모두 입주민 공동 소유다.

여기에 경사지에 건축해 단지별로 고저가 다르지만 남산 줄기인 매봉산공원이 이어지는 산책로는 물론 한강조망이 가능한 곳도 있다. 건물은 최고급 대리석으로 건립됐으며 단지 내 수영장·휘트니스센터·골프연습장·사우나 시설 등 입주민만을 위한 편의시설이 따로 갖춰져 있다.

한남동 재개발 호재도 더해지며 미래가치를 높이고 있다. 한남더힐 맞은편외인아파트 부지에 최대 340가구 규모의 고급주택가가 들어설 예정이며 서울 한강변 대표 재개발 지역으로 꼽히는 한남뉴타운도 있다. 최근 이들 지역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최근 한남동 땅값이 3.3㎡당 1억 원을 돌파하는 등 이 일대의 미래가치를 다시금 실감케 하고 있다.

한편, 한남더힐은 2009년 임대 아파트로 공급했으나 2016년부터 분양전환이 가능해졌다. 현재 임대계약이 끝난 후 분양 전환(소유권 이전)되지 않은 아파트를 분양 중이다.

분양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단독주택 형태의 고가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한남더힐은 서울 중심부에 위치한 입지와 풍부한 녹지의 단지 내 조경, 최고 수준의 보안시설 등으로 많은 정계인사들과 기업인들이 찾고 있다”며 “현재 분양 중인 아파트 관람은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