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치광장] 50+세대 위한 맞춤형 정책 절실하다/이경희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

[자치광장] 50+세대 위한 맞춤형 정책 절실하다/이경희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

입력 2017-07-04 21:10
업데이트 2017-07-04 2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희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
이경희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
베이비붐 세대는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주역이다. 그동안 스스로를 독촉하면서 무거운 책임감 속에 살아왔다. 그런 와중에 갑작스레 맞게 된 ‘100세 시대’는 이들에게 기대와 희망보다는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오는 게 사실이다. 은퇴 후에도 살아온 시간만큼 더 살아야 하는 중장년층의 막연함과 불안함을 어떻게 해야 할까.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이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서울시는 지난해 전국 지자체 최초로 50+세대(만 50~64세) 지원에 나섰다. 지난해 4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을 설립하고, 인생 전환을 준비하는 중장년층에게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는 50플러스캠퍼스도 서부(은평구 소재)와 중부(마포구 소재) 두 곳을 개관했다. 지난 5월 기준 두 캠퍼스를 다녀간 이들은 10만여명에 이른다. 맞춤형 상담 지원은 1만 3700건이고, 새로운 친구를 만나 경험을 나누고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는 189개 만들어졌다.

처음 시작 땐 50+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고, 우려의 목소리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1년이 지난 지금은 우려의 목소리가 기대와 지지로 바뀌었다. 전국의 여러 자치단체와 기관들에서 관심도 갖고 ‘벤치마킹’하려는 발걸음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50플러스정책이 짧은 기간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건 50+세대들의 다양한 요구와 잠재력을 고려한 종합적인 지원 정책을 펼쳤기 때문이다.

퇴직 후 인생 2막의 시작점에 선 이들에겐 일시적인 지원이 아닌 인생을 재설계하는 데 필요한 총체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현재 우리나라 50+세대 지원 사업들은 대부분 교육, 취업, 창업, 여가 등 정부 부처별로 나뉘어 있다. 상담부터 일자리까지 종합 지원이 필요한 50+세대들의 상황을 고려하면 자칫 단편적이고 부분적인 지원에 그칠 우려가 크다.

새 정부는 출범 전부터 5060세대를 위한 최초의 정부를 만들겠다며 ‘브라보 5060 신중년’ 공약을 발표하는 등 신중년 정책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이 50+세대에게 실질적인 힘이 되기 위해선 기획 단계에서부터 종합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 설계를 해야 한다. 특히 광역시나 대도시의 경우에는 50플러스캠퍼스와 같은 종합적인 시설 제공이 필요하다.

민간 부문에서 마케팅이나 영업 활성화를 위해 자주 쓰는 표현으로 ‘고객 맞춤형’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비단 상품이나 서비스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다. 50+세대를 위한 정책도 마찬가지다. 서울시를 비롯한 정부의 ‘맞춤형 정책’이 50+세대의 막연함과 불안감을 떨쳐버리고 그들이 자신감 있게 인생 2막을 설계해 나갈 수 있는 힘이 됐으면 한다.

2017-07-05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