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치광장] 신정부 출범과 용산국가공원/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

[자치광장] 신정부 출범과 용산국가공원/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

입력 2017-06-29 17:46
업데이트 2017-06-29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
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
서울 용산의 주한미군 평택 이전이 본격화했다. 용산미군기지의 막이 저물고 용산국가공원으로 다시 태어난다.

 110여년 만에 국민 품으로 돌아오는 용산공원은 단순히 도시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이 아니다. 지금의 용산공원 부지는 조선 말 청나라 군대와 일본군이 주둔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1905년 115만평에 수만 명의 일본군이 주둔할 수 있는 병영을 건설했다. 이후 1953년 휴전협정이 체결되면서 미군이 주둔해 왔다. 수도 서울의 한복판에 있지만 우리 국민의 출입이 자유롭지 않은, 110여년의 굴곡진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이 그대로 남아 있는 공간이다. 이러한 역사적인 땅의 반환은 공간주권 회복이자 정체성 회복을 의미한다.

 온전한 용산국가공원 조성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잔류 부지 반환을 위한 미국과의 협상, 한미연합사 이전 시기 확정, 공원 조성 부지 내 오염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정화 등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의지가 필요하다.

 신정부 출범으로 용산국가공원 조성 사업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인 지난 4월 기자회견에서 “용산 미군기지가 반환되면 그곳엔 뉴욕 센트럴파크와 같은 생태자연공원이 들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북악에서 경복궁, 광화문, 종묘, 용산, 한강까지 이어지는 문화벨트가 조성돼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거리가 되고 우리 수도서울은 세계 속 명품도시로 거듭날 것”이라고 했다.

 기존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가 아닌 새로운 논의기구가 출범해야 한다. 북악에서 한강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문화벨트 속에서 국가 상징 공간 일환으로 용산국가공원을 다루고자 한다면 적어도 국무총리실 산하, 더 크게는 대통령 직속 논의 기구가 필요하다.

 지금의 단절되고 축소된 형태가 아닌 옛 용산기지 터를 회복하고 국가 차원의 원칙을 재설정하는 것과 병행해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의 전면적인 개정도 이뤄져야 한다. 공원 주변 지역의 종합적인 도시계획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서울시에 주체적인 역할을 부여, 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용산국가공원은 사회적·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되찾아오는 땅이다. 110여년이라는 단절된 시간을 불과 몇 년 사이에 고스란히 회복할 수는 없다. 향후 수도 서울의 100년을 결정 지을 것이기에 100년 앞을 내다보는 안목으로 국가 공원의 가치를 신중하게 고민하고 국민과 함께 만들어 가길 바란다.

2017-06-30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