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카타르 단교 사태 뒤에… 美·러시아 해커 있었나

카타르 단교 사태 뒤에… 美·러시아 해커 있었나

심현희 기자
입력 2017-06-07 22:32
업데이트 2017-06-08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 스스로 의혹 일으켜

“사우디 방문했던 나의 성과… 테러공포 끝낼 것” 적극 지지
FBI ‘러 가짜뉴스’ 수사 나서

‘카타르와의 단교’ 사태 이면에 미국과 러시아가 어른거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중재 나선 쿠웨이트
중재 나선 쿠웨이트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알사우드(오른쪽) 사우디아라비아 국왕과 셰이크 사바 알 아흐마드 알자비르 알사바(왼쪽) 쿠웨이트 국왕이 6일 (현지시간) 사우디 제다에서 만나 반갑게 포옹하고 있다. 셰이크 사바 쿠웨이트 국왕은 사우디 등 수니파 이슬람권 국가들과 카타르의 단교 사태로 인한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중재자로 사우디를 방문했다.
제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스스로 의혹을 제조했다. 6일 트위터에 “중동 방문 때 내가 ‘급진 이데올로기에 대한 자금지원은 더이상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으며 (당시) 정상들이 모두 카타르를 지목했다. 봐라!”라는 글을 올렸다. 자신이 중동 방문 때 테러단체와 극단주의에 대한 자금 지원 중단을 역설했고 그 결과로 중동 국가들이 ‘테러리즘 후원’ 의혹을 받는 카타르와의 단교에 나섰다는 취지의 주장이다.

그는 이어 “살만 국왕과 50개국의 지도자를 만난 사우디 방문이 성과를 내는 것을 보니 기쁘다. 그들은 ‘극단주의에 대한 자금 지원 문제에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이것(카타르와의 단교)은 아마도 테러공포를 끝내는 일의 시작이 될 것”이라며 이번 사태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 입장을 밝혔다.

반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카타르 국왕에게 전화를 걸어 중재자 역할을 맡겠다고 했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미국이 만들고 있는 새로운 중동 형세에 빈틈을 찾으려는 시도로 여겨진다. 이런 가운데 미 연방수사국(FBI)은 카타르 국교 단절 사태 뒤에 러시아 해커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팀을 카타르 수도 도하에 파견했다고 미국 CNN이 미 정부와 카타르 정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FBI는 러시아가 중동 국가들과 미국의 동맹 관계를 교란시키려는 목적에서 ‘가짜 뉴스’를 흘려 갈등을 촉발시켰을 가능성을 보고 있다.

이번 일은 동남아 이슬람 국가들도 난감한 상황으로 몰아넣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오랫동안 사우디아라비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같은 수니파 국가에 속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올 초 순방에 나섰을 때 말레이시아가 첫 방문국이었다. 이때 사우디는 말레이시아 국영석유기업 페트로나스에 70억 달러(약 7조 8000억원)를 투자하는 등의 선물을 안겼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는 카타르와도 친밀한 관계를 맺어 왔다. 카타르는 말레이시아에 최근까지 약 120억∼150억 달러를 투자했다. 2억 6000만 인구의 약 90%가 이슬람을 믿는 세계 최대 무슬림 인구국인 이웃 인도네시아도 비슷한 상황이다.

미국이라고 이 같은 복합적인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있지는 않다. 카타르는 중동 지역에서 미군이 주둔하는 최대 기지와 전진 사령부가 소재하는 등 지정학 요충지다. 미국은 현재 도하 인근에 우데이드 미군 공군기지를 두고 있으며 이곳에는 미군 약 1만명이 주둔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이날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카타르 국방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카타르가 오랜 기간 공군기지를 제공해 주고 있는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사태 수습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 국왕에게 전화를 걸어 “걸프국가들의 협력이 테러를 막고 지역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7-06-08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