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명구의 문화로 세상읽기] 교육개혁과 장인정신

[강명구의 문화로 세상읽기] 교육개혁과 장인정신

입력 2017-06-04 17:42
업데이트 2017-06-05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차 산업혁명’이 초연결, 초지능을 기반으로 해서 많은 산업 분야를 대체하고, 또 새롭게 창출할 것이라고 한다. 초연결은 사물과 사람이 연결되는 것이고, 초지능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통해 실현된다. 그래서 이제까지와는 전연 다른 능력을 갖춘 인재들이 필요하고,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전면적으로 혁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강명구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강명구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새롭게 요구되는 능력으로 소프트웨어 디자인과 수학과 전산 등 과학적 인지능력, 협력과 소통, 기계와의 소통, 감성과 미적 감수성 등이 주요 목록에 있다. 지식의 생산과 전달은 인공지능 로봇이 담당할 것이라, 이제는 감성과 도덕적 민감성 등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어느 부분 타당하다. 그러면 초연결, 초지능 시대에 요구되는 교육개혁의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 것일까. 우선 상당히 표준화된 교육 과정과 내용은 근본적으로 바뀔 것 같다. 이과와 문과를 나누고,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과 공학, 농학, 의학과 약학을 나누는 지금의 대학 전공 체제도 허물어질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칸아카데미가 2014년 설립한 ‘칸랩스쿨’은 12학년 동안 학년 경계가 없고, 확정된 교과과정 없이 개별 학생들이 참여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배운다. 시험은 물론 없고 프로젝트 수행과 활동으로 성과평가가 이뤄진다. 2011년 개교한 미네르바대학은 한 캠퍼스에서 4년 동안 공부하는 게 아니라 세계 7개 도시를 다니게 돼 있다. 샌프란시스코, 런던, 베를린, 부에노스아이레스, 하이데라바드, 그리고 타이베이와 서울에 있는 기숙사에서 생활한다. 학생도 전 세계에서 누구든 입학이 가능하다. 이 대학의 스티븐 코슬린 초대 학장은 “내가 하버드, 스탠퍼드 등 엘리트 대학을 떠난 까닭은 간단하다. 고등교육의 근본적 개혁을 위해 그들보다 나은 교육의 틀을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이렇게 전 세계 학생이 전 세계 7개 캠퍼스에서 생활하면서 대부분의 전공이 융합되고, 프로젝트를 통해 배우는 교육의 혁신이 이미 많은 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런 학교 제도의 재구성, 교육 과정의 혁신은 우리가 서둘러 배워야 한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한 가지 중요한 전제가 있다. 소위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 혁신은 전통적 교육이 추구했던 목표와 내용과 단절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연속선 위에서 새로운 능력의 훈련이 추가돼야 한다는 게 필자의 주장이다.

주장의 근거는 이렇다. 전통적으로 1, 2, 3차 산업혁명의 기초를 이루고 있던 대표적 인재는 전문가와 장인이었다. 지식이든 숙련기술이든 한 가지에만 집중하고 그 경험의 축적을 통해 결과물을 생산했다. 이런 인재를 장인이라 부른다. 세계에서 가장 가볍고 단단한 강판(물론 생산단가를 고려해서)을 만든 사람. 너무나 소음이 적은 자동차 엔진을 만들어서 잡음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넣은 도요타 자동차의 엔지니어들. 독일과 일본이 이 부문에서 압도적이고, 한국 역시 지난 30여년 동안 후발 주자로서 반도체, 자동차, 재료 등의 분야에서 이런 세계적 성취를 이룬 장인들을 많이 배출했다.

4차산업으로의 전환은 2차산업의 토대 위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여전히 더 많은 장인을 필요로 한다.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이 의사와 변호사, 교수와 저널리스트를 대체한다는 걱정은 많이 하는 반면 생체·기계적 로봇을 만들기 위해 정밀기계와 복합재료에 대한 고도의 기술과 장인적 경험을 축적해야 한다는 점은 간과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여전히 2차산업에서 장인을 키우기 위해 요구되는 오랜 각고의 노력과 훈련(이것은 정신과 손과 발의 융합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장인들의 헌신을 지지하는 사회문화적 풍토가 여전히 중요할 수밖에 없다.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디지털 장인은 새로운 인재가 아니라, 2차산업을 떠받치던 장인정신 위에서 자라날 수 있을 것이다. 스스로 축적한 장인문화 위에서 새로운 디지털 장인정신을 배양하는 교육개혁을 기대한다.
2017-06-05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