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상열의 메디컬 IT] 체중관리 애플리케이션 연구로 얻은 깨달음

[이상열의 메디컬 IT] 체중관리 애플리케이션 연구로 얻은 깨달음

입력 2017-05-22 22:38
업데이트 2017-05-22 2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비만은 필자가 진료실에서 경험하는 중요한 임상적 문제 중 하나다. 현재 우리나라의 비만 유병률은 30%를 넘었고, 계속 증가하고 있다. 비만 그 자체만으로는 특별한 조치가 필요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혈증 등 주요 만성질환과 심·뇌혈관질환, 암 등 치명적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많은 전문가들은 비만을 질병으로 간주하고, 적극적인 치료와 예방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의료 현실에서 비만 치료는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다. 그저 진료실에서 “적게 먹고 많이 움직여야 한다”고 조언하는 것 외에는 선택할 수 있는 치료법이 의외로 많지 않다. 일부 약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심한 동반질환을 가진 고도 비만자에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아직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지방흡입술 등 학술적 근거가 다소 희박한 미용 목적의 시술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비만 치료와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으로 최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활용되고 있다. 체중뿐 아니라 개인의 운동, 식사 등 전반적 생활습관을 기록·관리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다시 안내해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단순한 체중 감량에 머무르지 않고 줄어든 체중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수단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최신기술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는 많지 않아 아직 학술적으로 확립된 근거를 갖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최근 필자는 체중관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계 글로벌 스타트업과 연계해 세계 80여개국에서 수집한 수년간의 사용자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체중 감량 애플리케이션의 효과가 어떤지, 사용자의 어떤 요인이 체중 감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다. 애플리케이션을 1개월에 적어도 1번 이상, 6개월 이상 사용한 3만 500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의 46.7%가 5% 이상 체중을 감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도의 효과는 현재 출시돼 있는 최신 비만치료제와 비교해도 크게 뒤떨어지지 않는 수준이다.

어떤 사용자가 좀 더 성공적으로 체중을 감량했는지 추가 분석을 시행했다. 어쩌면 뻔한, 하지만 대규모의 연구로는 처음 확인된 결론을 도출했는데 체중과 식사내용을 자주 확인해 기록한 사람들의 감량 확률이 높았다. 특히 저녁 식사는 성공적 체중 감량뿐 아니라 체중 감량 후 실패, 다시 말해 요요현상 발생과도 중요한 상관성을 보여 저녁 식사를 잘 관리하는 것이 성공적인 체중 감량을 위해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필자는 체중관리 애플리케이션의 효과를 세계적 규모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연구 성과로 자평하고 있다. 비약일지 모르지만 필자는 체중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체중과 생활습관을 자주 체크·관리했다는 것을 ‘조금이나마 자신을 아끼고 뒤돌아보는 기회를 가졌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자신의 건강 관리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외 다양한 방법을 응용해볼 수 있다. 앱 사용이 익숙한 세대는 유사한 건강 관리 앱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앱 사용이 번거로운 분들은 간단한 일지 작성만으로도 좋은 효과를 경험한다. 실제 필자의 건강 관리에서도 좋은 효과를 얻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스스로의 인생과 건강을 성찰해볼 것을 적극 권유한다.
2017-05-23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