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머물고 있는 입장에선 아리랑은 다소 고리타분한 과거로 다가올 수도 있다. 그러나 이향만리로 떠난 이들에게 아리랑은 현재이자 뿌리이다. 25일 개봉하는 ‘고려 아리랑:천산의 디바’는 바로 그런 이야기를 들려주는 다큐멘터리다.
영화 ‘고려 아리랑:천산의 디바’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는 세계에서 유일한 고려인 민족극장이 있다. 국립고려극장이다. 원래 1932년 원동(러시아 연해주 또는 블라디보스토크)에 만들어졌었다. 1937년 스탈린의 고려인 강제 이주 정책에 따라 현재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자리잡았다. 이제껏 200편이 넘는 연극과 음악 공연으로 고려인의 애환을 달랬던 이곳은 1970년대 들어서 아리랑가무단을 조직해 구소련의 도시 곳곳을 돌며 소수 민족을 위로했던 찬란한 시기가 있었다.

영화는 초반 고려극장의 창립 멤버이자 카자흐스탄의 인민 배우였던 ‘춘향이’ 이함덕(1914~2002)에 대한 고려인들의 기억과 낡은 사진을 더듬으며 강제 이주사를 들여다본다. 남아 있는 자료가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영화적 연출이 아쉽기는 하지만 이야기 자체가 전달하는 울림은 결코 작지 않다. 영화의 중후반부는 1970년부터 20여년간 순회공연 시기를 풍미한 디바 방 타마라(74)에게로 향한다. 고려인 할아버지와 아버지, 러시아인 어머니와 두 딸, 그리고 손자에 이르기까지 그녀의 가족사가 이어진다. 다양하게 변주되는 아리랑 외에도 “그대의 눈에서 빛을 찾고 질문도, 대답도 찾을 수 있을”것이라며 방 타마라가 부르는 러시아 노래 ‘비가 쏟아진다’, “엄마의 가을이 왔지만 아직은 멀었다, 안타까워하지 말라”는 방 타마라의 둘째 딸이 부르는 자작곡 ‘엄마’가 귓가를 맴돈다.

최근 시사회에 맞춰 한국을 찾은 방 타마라는 아버지 나라가 고국을 떠난 이들을 기억해줘 감사하다며 눈물을 흘렸다. “어려서 고려말을 배우고 싶었지만 쓸 일이 없을 거라는 아버지 말에 포기했다. 그래서 처음엔 고려극장의 존재를 몰랐다. 하지만 제가 고려인이기 때문에 극장을 이어 가야 할 의무가 있다는 말을 듣고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어를 모르는 상태에서 극단에서 들려줬던 노래에 눈물이 났던 기억이 있다.”

고려인은 그저 스크린에서만 만날 수 있는 머나먼 존재가 아니다. 외국인 200만명 시대에 우리 곁에서 함께하는 고려인이 점점 늘고 있다. 비공식 집계로 4만~5만 명에 달한다. 김영숙 고려인지원센터 너머 사무국장은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부모를 따라 한국에 온 고려인 4세는 외국인으로 분류되어 성인이 되면 한국을 떠나야 하는 게 큰 문제다.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고려인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법이 개정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