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자정’은 하루의 시작? 끝?/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자정’은 하루의 시작? 끝?/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5-17 17:46
업데이트 2017-05-17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간은 자정 넘어 새벽으로 가는데….” 가요 ‘신사동 그 사람’에서처럼 ‘자정’(子正)은 흔히 하루의 끝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국어사전의 뜻풀이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다. ‘자시(子時)의 한가운데. 밤 열두 시를 이른다’라고 돼 있다. “자정이 지난 시간”, “이야기를 하느라 자정을 넘겼다” 같은 예문들을 봐도 ‘자정’은 그날의 끝을 가리킨다.

한데 끝은 곧 시작이 된다. 그렇다 보니 국어사전에 따라서는 ‘밤 12시’가 아니라 ‘0시’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같은 지점을 가리키는 것이어서 크게 달리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0시’가 되면 문제가 생길 때가 있다. 특정한 날 뒤의 ‘자정’은 갑자기 시작점이 돼서 24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즉 ‘18일 자정’이 ‘18일 밤 12시’가 아니라 ‘18일 0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받아들이는 층도 꽤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도 ‘자정’을 시작점으로 본다. 하루를 12시간으로 나눈 12지시법이 사용되던 시절이 있었다. ‘자, 축, 인, 묘…’로 이어지는 것들이다. 여기에 ‘초’(初)와 ‘정’(正)을 붙인 24반지시법도 같이 쓰였다. 24반지시법에서 ‘자시’는 ‘자초’와 ‘자정’으로 나뉜다. 이때 ‘자정’을 현재의 시법으로 바꿔 오전 0시로 계산한다.

여전히 엄격히 구별하는 곳에서는 ‘자정’을 하루의 시작이라고 여긴다. 언론 매체에서는 두 가지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 ‘자정’의 사용을 극히 꺼린다. 대신 ‘18일 밤 12시’나 ‘19일 0시’라고 해서 혼동이 없게 표현한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7-05-18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