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태통로 이용 야생동물 4년 새 평균 3배 늘어나

생태통로 이용 야생동물 4년 새 평균 3배 늘어나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7-05-14 22:14
업데이트 2017-05-14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태계 단절을 막고 야생동물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 설치한 생태통로가 야생동물의 이동로로 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덕유산 신풍령에 설치한 생태통로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2급)인 담비가 목격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덕유산 신풍령에 설치한 생태통로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2급)인 담비가 목격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14일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2012~2016년 국립공원 내 생태통로의 야생동물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곳의 생태통로에서 37종의 야생동물이 목격됐고 1곳당 평균 505회(총 6061회)를 이용했다. 2012년 8곳에서 28종의 야생동물이 1곳당 평균 163회(총 1307회) 이용한 것과 비교해 3.1배 증가했다. 현재 국립공원 생태통로는 12곳에 설치됐는데 지리산 3곳을 비롯해 오대산·속리산 2곳, 설악산·소백산·월악산·덕유산·계룡산 각각 1곳 등이다.

5년간 생태통로를 이용한 야생동물은 포유류(20종), 조류(31종), 양서류(5종), 파충류(4종) 등 총 60종이며 포유류 비중이 96.4%에 달하고 특히 고라니의 이용 횟수가 5247회로 가장 많았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반달가슴곰·수달·산양·매와 2급인 하늘다람쥐·삵·담비 등도 확인됐다. 공단은 생태통로 안에 동물이 염분을 섭취할 수 있는 미네랄블록과 다람쥐 등 소형동물이 이용할 수 있는 간이통로 등을 추가했다. 또 도로를 횡단하는 뱀·족제비 등 소형 동물의 이동을 위해 도로옹벽 탈출 시설을 월악산·오대산 등의 도로변에 설치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5-15 2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