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安 ‘국회 추천 책임총리’ 내세워 대선판 흔들기 ‘마지막 승부’

安 ‘국회 추천 책임총리’ 내세워 대선판 흔들기 ‘마지막 승부’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17-04-28 22:44
업데이트 2017-04-29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혁공동정부 구성안’ 발표 배경·전망

“40석으로 안정적 국정운영 가능” 부각… 후보 단일화 않고도 중도·보수표 겨냥
‘집권 땐 친박·친문 뺀 열린 내각’ 밝혀… 靑비서실 축소… 국회와 협력 개헌 추진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28일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국민대통합’과 ‘협치’를 내세운 ‘개혁공동정부 구성안’을 발표했다. ‘문재인 1강 구도’로 재편되고 있는 대선판을 흔들기 위한 막판 승부수다. 특히 안 후보는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에게 개혁공동정부 준비위원장직을 제안하며 반전을 노렸다.
이미지 확대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구기동 자택을 나서며 차량에 탄 채 밝은 표정으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구기동 자택을 나서며 차량에 탄 채 밝은 표정으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탄핵 반대 세력과 계파패권주의 세력을 제외한 모든 합리적인 개혁 세력과 힘을 합쳐 이 나라를 바꾸겠다”면서 “새 정부는 대통합정부, 개혁공동정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 후보는 “제가 집권하면 지금의 정당 의석수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진다”면서 “정치 대변혁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집권 후 친박(친박근혜)계와 친문(친문재인)계를 제외한 ‘열린 내각’(오픈 캐비닛)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국민의당 40석으로도 안정적인 국정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중도·보수 진영을 끌어모으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안 후보는 개혁공동정부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국회 추천 방식’의 책임총리제를 꺼내들었다. 안 후보는 책임총리 임명과 관련, “정당들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해 책임총리를 지명하겠다”면서 “원내교섭단체 대표 간 합의해 추천한다면 그것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장관 임명 역시 책임총리 추천을 최대한 존중하고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을 통해 국가 개혁과제를 내각이 주도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또 청와대 비서실을 축소하고 민정수석실 폐지, 특별감찰관 독립성 강화 등을 통해 청와대 개혁에 착수하겠다고 했다.

안 후보는 국회와 협력해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방침도 분명히 했다. 특히 ‘3년 임기 단축 개헌을 수용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국회에서 국민들의 의사를 반영해 권력구조 개편 방안이 결정되면 전적으로 모두 수용하고 받아들이겠다”고 말해 사실상 수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안 후보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연 것은 김 전 대표가 추구하는 개헌과 집권 구상을 받아들인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표명하는 동시에 김 전 대표의 국민의당 합류를 위해 ‘자리를 깔아 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안 후보는 “(김 전 대표에게) 개혁공동정부 준비위원회를 맡아 달라고 부탁드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전 대표는 “안 후보와 나눈 얘기에 대해 믿음을 갖고 있다”며 사실상 수락 의사를 밝혔다.

김 전 대표는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입장을 표명할 예정이다. 김 전 대표 측 관계자는 “개혁공동정부 준비위를 구성하는 데 시간이 필요한 것”이라면서 “민주당과는 다르게 바른정당 등을 포함, 다른 세력과의 연대를 의미할 수 있는 상징적인 외부 인사가 준비위에 합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개혁공동준비위가 대선 막바지에 사실상 비문(비문재인) 진영 후보 간 단일화를 위한 플랫폼이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7-04-29 6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