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전으로 여는 아침] 말에 속지 말고 행적을 보라/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고전으로 여는 아침] 말에 속지 말고 행적을 보라/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입력 2017-04-25 22:46
업데이트 2017-04-26 0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공개 토론의 목적은 청중의 이해와 지지를 얻고자 함이다. 그렇다면 토론의 성공 여부는 화자(話者)가 청중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내용과 화법을 얼마나 적절하게 구사하느냐에 달려 있다. 아리스토텔레스(BC 384~BC 322)는 ‘수사학’에서 다양한 영역의 토론에 필요한 설득의 기술을 제시했다.

토론에서 청중의 공감을 얻으려면 청중이 어떤 일, 어떤 사람에 대해서, 어떤 아비투스(habitus)에서 어떤 정념을 느끼는지를 헤아려야 한다. 특정 사회적 위치나 환경을 가진 사람들이 공유하는 행동 양식이나 판단 등 아비투스에 따라 화자의 메시지는 다른 내용과 수준으로 수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원리는 선거 토론에도 유추 적용해 볼 수 있다.

선거 입후보자들의 토론에서는 청중이 어떤 정념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까. 아마 분노, 두려움, 신뢰가 아닐까. 대개 ‘우리의 행위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대해, 혹은 우리의 행위를 지지하지 않거나 일정한 방식으로 우리의 욕망을 방해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분노를 느끼게 된다.’ 또 한편으론 ‘분노나 증오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 우리에게 큰 해를 입힐 수 있을 경우에 우리는 그들을 두려워하게 된다.’ 특히 자신의 이익이 타인의 처분에 맡겨져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더욱 두려움을 느낄 것이다.

반면에 ‘두려워할 만한 것들이 멀리 있거나, 우리를 구해줄 수 있는 일이 가까이 있다는 사실은 안도감을 준다.’ 신뢰는 분노나 두려움의 대립 항이다. 그렇다면 청중은 분노나 두려움을 일으키는 화자를 거부하고 자신에게 안도감과 희망을 갖게 해주는 화자에게 신뢰를 보내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청중 정념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선거 토론에서 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경쟁자에게 청중이 최대한 분노와 두려움을 느끼도록 공박하는 질문을 던지고, 자신은 청중이 안도감과 신뢰를 느끼도록 하는 답변과 해명에 주력해야 하리라.

입후보한 토론자들은 수사학의 원리를 알든 모르든 간에 본능적으로 이런 원칙에 부분적으로는 충실한 듯싶다. 각자 상대방을 흠집 내는 온갖 수사를 잘 퍼부어 대는 것을 보면. 문제는 이들이 각자의 신조와 정강에 따라 제기하는 안보, 일자리, 복지, 교육, 안전, 양성평등의 정책 이슈들이 청중, 즉 국민에게 얼마나 소구력이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느냐이다.

국민의 분노와 두려움의 실체가 무엇인지 간파하고 이에 응답하는 이가 토론에 승리할 것이다. 특히 국민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과 안도감을 주는 이가 신뢰와 지지를 받을 것이다. 하나 지지율을 높이기 위한 거짓과 위장하는 말의 성찬에 현혹되지 말자. 변덕 심한 그들의 말보다 정책 이슈에 대한 과거 행동과 메시지를 살펴보라. 진정한 신뢰는 화자의 총체적인 에토스(ethos)에서 나온다.
2017-04-26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