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5년 7개월 한 푼도 안 쓰고 버는 돈 다 모아야 집 산다

5년 7개월 한 푼도 안 쓰고 버는 돈 다 모아야 집 산다

류찬희 기자
입력 2017-04-25 23:52
업데이트 2017-04-26 03: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토부 작년 주거실태조사

2년 전보다 1년가량 늘어나
소득 하위 40%는 10년 걸려
자가 보유율 58 → 59.9%로
이미지 확대
벌어들인 소득을 5년 반 동안 한 푼도 쓰지 않고 저축해야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건 전체 평균이며, 소득 하위 40%인 가구는 10년을 모아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6년 일반주택 주거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가 국토부의 의뢰를 받아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PIR(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은 5.6배로 분석됐다. 모든 수입을 5년 7개월 정도 저축해야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2년 전 PIR(4.7배)과 비교하면 1년 가까이 더 늘었다. 그만큼 주거비 부담이 커졌다는 얘기다. 소득계층별로 보면 상위 20%(377만 가구)의 PIR은 5.0배, 하위 40%(790만 가구)의 PIR은 9.8배로 2배 가까이 차이났다. 주거비 부담이 늘어난 것은 연간 소득 증가 속도가 집값 상승세를 따라잡지 못한 데다 1인 가구 증가로 가구원 수가 적어져 전체 연소득 평균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자기 집에 사는 비율을 뜻하는 ‘자가(自家) 점유율’은 2014년 53.6%에서 지난해 56.8%로 증가했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자가 점유율은 46.2%로 2년 전보다 오히려 1.3% 포인트 떨어졌다. 고소득층의 자가 점유율은 73.6%로 2년 전보다 4.1% 포인트 증가했다.

세를 들어 사는 가구 중 월세 비율은 60.5%로 2년 전보다 5.5% 포인트 상승했다.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월세 가구 비중이 높았다. 특히 저소득층의 ‘보증금 없는 월세’ 비율은 다른 소득계층보다 가파르게 증가했다. 전세 가구는 같은 기간 45.0%에서 39.5%로 감소했다. 월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은 18.1%로 2년 전(20.3%)보다 다소 개선됐다.

자가 보유율은 58.0%에서 59.9%로 높아졌다. 강미나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주택 공급량 증가와 낮은 이자율, 다양한 주택금융 등 요인에 더해 전셋값 상승에 지친 세입자들이 돈을 빌려 주택 구입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소요연수는 6.7년으로 2년 전(6.9년)보다 다소 줄었다. 응답자의 평균 거주 기간은 자기 집의 경우 10.6년, 임차 가구는 3.6년으로 조사됐다.

주거실태 조사는 2년마다 주거환경과 주거이동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다. 국토부는 올해부터 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표본 수도 기존의 3배인 6만 가구로 늘린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7-04-26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