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사람의 눈이 큰 까닭은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사람의 눈이 큰 까닭은

입력 2017-04-24 22:46
업데이트 2017-04-25 0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사람의 눈은 원래 개미처럼 작았다. 그래서 멀리 볼 수 없었다. ‘개미 눈’ 사람들의 시대가 지나간 후 메뚜기처럼 작고 긴 ‘세로 눈’을 가진 인간이 탄생했다. 그러나 그들도 사라지고, 마침내 길쭉하고 큰 가로 형태의 눈을 가진 오늘날의 인간이 태어났다. 중국의 서남부 쓰촨성과 윈난성에 거주하는 이족의 신화에 나오는 내용이다. 비슷한 신화는 또 있다.

사람의 눈은 원래 한 개였다. 말도 할 줄 모르고 농사도 지을 줄 몰랐다. 그런데 여신이 물로 잘 씻겼더니 세로 형태의 눈이 두 개 달린 인간으로 변했다. 두 개의 세로 눈을 가진 인간은 나뭇잎을 이용해 지붕을 만들 줄 알았다. 후에 세로 눈을 가진 인간들이 변화해 마침내 가로 눈을 가진 오늘날과 같은 인간들이 됐다. 그들은 도구를 사용했고, 농사를 지을 줄 알았다.

이렇게 눈과 관련된 독특한 신화들을 전승하는 이족은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그들은 무엇보다 지혜와 지식을 중요하게 여겨서 지식의 경전을 따로 전승할 정도다. 그런 그들에게 이렇게 눈과 관련된 신화가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신화의 내용을 잘 살펴보면 인간의 발전 과정을 눈의 변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 보인다. 눈이 하나였을 때에 인간은 말도 할 줄 몰랐고, 서로 잡아먹기도 했다. 그러나 눈이 두 개로 변하면서 나뭇잎으로 지붕도 만들고 농사도 짓게 된다. ‘눈’이라는 것이 인간의 ‘지혜’와 ‘지식’의 진보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많은 지역의 신화에서 ‘눈’은 지혜를 상징하며, 동시에 사악한 기운을 몰아낸다는 종교적 영험함을 지닌다. 이집트에서 ‘호루스의 눈’ 문양이 그렇게 많이 보이는 것도, 터키의 곳곳에서 푸른색 눈 모양의 ‘나자르 본주’가 보이는 것도, 네팔의 스투파에 ‘보호의 눈’이 그려진 것도 모두 비슷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앞에 소개한 이족 신화에서는 눈이 하나밖에 없는 인간이 ‘말’을 할 줄 몰랐고, 서로 잡아먹었다고 한다. 개미 눈 인간은 눈이 작아 ‘멀리 볼 줄 몰랐다’고도 한다. 눈이 하나밖에 없거나 개미처럼 작을 때, 인간은 지혜롭지도 못 했고 ‘소통’할 수도 없었다. 언어가 없었고 멀리 볼 수 없었으니 인간 사이에 지혜로운 소통이 있을 수 없었고, 그러니 서로서로 잡아먹는 사건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통계를 하나 살펴보자. 다른 동물들과 비교해 볼 때 인간의 눈은 몸에 비해 상당히 크다. ‘로이카르트의 법칙’에 따르면 빨리 달리는 동물일수록 눈이 크다고 한다. 순식간에 하늘에서 지상으로 내려오는 매의 눈이 몸에 비해 큰 것도, 치타가 큰 눈을 가진 것도 빨리 이동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빠른 속도로 달리면서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으려면 눈이 커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법칙에 따르면 인간도 몸에 비해 눈이 크니까 빨리 달릴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실 인간은 달리는 속도가 빠르지 않은데 눈은 크다. 그러니까 로이카르트의 법칙이 인간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이 빨리 달리지도 못하면서 눈이 큰 이유를 과학자들은 ‘사회적 소통’의 필요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사람 얼굴의 미묘한 표정을 읽어 내기 위해 눈이 커졌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최초의 인간이 ‘개미 눈’을 갖고 있다가 지금의 인간과 같은 큰 눈을 갖게 됐다는 이족의 신화는 인간이 사회적 존재가 되어 간 것에 대한 설명이다. 크고 밝은 눈을 인간에게 준 신의 뜻은 언어와 지혜를 통해 ‘소통’하라는 것에 있었다.

대선 후보들이 다양한 생각들을 발표하고 있고, 언론을 통해서도 수많은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쏟아지는 언어의 홍수 속에서 진실이 무엇인지 찾아내야 한다. 그것이 몸에 비해 커다란 ‘두 개의 가로 눈’을 가진 우리의 임무다. 이족의 신화처럼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진보는 눈 밝고 지혜로운 국민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니.
2017-04-25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