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내일 세월호 3주기] “떠오른 세월호 보며… 공정한 사회 희망을 다시 찾았죠”

[내일 세월호 3주기] “떠오른 세월호 보며… 공정한 사회 희망을 다시 찾았죠”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7-04-14 22:26
업데이트 2017-04-14 2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세대가 말하는 대한민국

선체 인양 포기하지 않은 국민 대단
청년과 기성세대 소통할 창구 필요
돈 안 빌려도 살 수 있는 나라 소망
직접 정치 참여해 세상 바꾸고 싶어
이미지 확대
나에게 세월호는 [   ]다
나에게 세월호는 [ ]다 세월호 참사 3주년을 이틀 앞둔 14일,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2학년 학생(1997년생)들과 비슷한 연령대의 ‘세월호 세대’(1995~1999년생)들이 본인에게 세월호란 어떤 의미인지 적은 종이를 들었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대학생 오승아, 대학생 김건우, 대학생 한지희, 취업준비생 이현기, 대학생 최진, 대학생 원현우, 대학생 박선유, 음식점 매니저 오세희씨.
“가라앉는 세월호를 보면서 처참했습니다. 하지만 촛불집회에 나가면서 우리에게도 미래가 있다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대한민국에 기대를 품고 싶어졌습니다.”-음식점 매니저 오세희(21·여)씨

세월호 참사 3주기를 이틀 앞둔 14일,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2학년 학생(1997년생)들과 비슷한 연령대인 ‘세월호 세대’(1995~1999년생) 31명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200자 원고지 300장 정도로 정리된 인터뷰에서 세월호(183회)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다름 아닌 ‘사람’(136회)이었다. 동년배들이 희생된 세월호 참사로 어떤 세대보다 많은 아픔을 느꼈던 이들은 선체 인양까지 1073일간 포기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에게서 다시 희망을 찾았다고 전했다. 조금이나마 나은 대한민국을 다음 세대에 전하고 싶다고 했다.

비슷한 연령대지만 미래에 대한 인식차는 뚜렷했다. 대학생 임지우(22·여)씨는 “세월호 참사를 내 일처럼 아파하고 촛불을 들고 광장에 나서는 시민들의 모습에서 희망을 봤다”고 말했다. 반면 취업준비생 정모(21·여)씨는 “참사 이후 한국에 대한 애정이 사라졌다. 한국에서 살고 싶지 않다”고 했다. 직장인 박하진(20)씨는 “민주주의라는 것 자체가 조금씩 함께 발전시키는 것 아니냐. 언젠가 교육, 정치 등의 분야에서 공정한 출발선이 지켜지는 나라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성세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온건한 평가를 내렸다. 연극배우 지망생 이호준(22)씨는 “기성세대를 싸잡아 비판할 수는 없다. 적폐를 쌓아 온 쪽이 있는 반면에 민주화를 위해 싸운 분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취업준비생 이명오(21)씨는 “참사를 제대로 수습하지 못한 기성세대에 불만이 많았는데 촛불집회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어른들을 보면서 생각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대학생 윤여송(22)씨는 “어른들의 판단력이 좋을 수는 있지만 청년도 나름의 생각이 있다. 청년을 존중해 줬으면 좋겠다”고 했고, 직장인 정경연(21)씨는 “앞으로 청년과 기성세대가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마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래의 죽음에 대해서는 트라우마를 호소했다. 보건소에서 근무 중인 현지수(21·여)씨는 “참사 이후 지하철이 멈칫하기만 해도 불안하다”고 말했다. 대학생 한지희(20·여)씨는 “대형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트라우마가 생겼다. 전철 선로에 불이 난 것을 본 적이 있는데 그때 세월호가 떠올라 너무 무서웠다”고 설명했다. 취업준비생 이수연(18·여)씨는 “세월호 참사가 또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어 불안하다.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할 텐데 내가 그 대상자가 되지 않으리란 법이 없다”며 한숨을 쉬었다.

세월호 참사는 청년들의 미래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 원현우(22)씨는 “사업을 해서 어려운 사람을 돕고 사는 게 목표였는데 세월호 참사 이후 세상을 보면서 단순히 노란 리본을 다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느꼈다. 정치를 해서 세상을 바꿔 보고 싶다”고 말했다. 취업준비생 이현기(20)씨는 “철도기관사를 준비 중인데 세월호 선장을 보면서 다른 선택을 하겠다고 결심한다”며 “나 혼자 살자고 수백명을 죽이는 것보다 내가 희생하는 게 더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대학생 이정인(21·여)씨는 “원래 꿈이 뮤지컬 연출가였는데 세월호 때문에 바뀌었다. 법조인이 돼 국가의 무능함을 해결하고 싶다”고 말했다.

정치권에 대해서는 큰 불신을 드러냈다. 직장인 김지은(19·여)씨는 “서로 헐뜯는 데만 열을 올리는 대선 후보들을 보면서 누굴 찍어야 할지 판단이 안 된다”고 말했다. 대학생 김건우(21)씨는 “유력 후보들이 네거티브에 집중할 뿐 적폐를 어떻게 청산하겠다는 얘기는 하지 않아 불만”이라고 밝혔다.

이들이 꿈꾸는 대한민국은 거창하지 않았다. 대학생 최진혁(22)씨는 “돈을 안 빌려도 먹고살 수 있는 나라였으면 좋겠다. 북유럽에서 페인트공이 의사와 비슷한 임금을 받는 것처럼 좀더 평등해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대학생 조은영(19·여)씨는 “경제 성장보다는 국민 안전이 우선시되는 세상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고, 대학생 김예송(22)씨는 “청년 일자리 문제가 빨리 해결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04-15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