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트럼프 회담장에서 시리아 공격 명령···만찬장서 시진핑에 통보”

“트럼프 회담장에서 시리아 공격 명령···만찬장서 시진핑에 통보”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7-04-07 16:48
업데이트 2017-04-07 1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시리아 폭격 미사일
시리아 폭격 미사일 미국 해군 유도미사일 구축함 ‘로스’가 7일(현지시간·미국시간 6일 밤) 지중해 동부해역에서 시리아 공군기지를 향해 토마호크 크루즈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미국은 ‘포터’와 ‘로스’ 등 2척의 구축함을 동원해 민간인 화학무기 공격을 자행한 시리아의 공군 비행장에 60∼70발의 토마호크 미사일을 퍼부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시리아 공격 명령은 미·중 정상회담이라는 예상 밖의 무대에서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5일 ”시리아 아사드 정권의 악랄한 행동이 선 넘었다“고 정면대응을 시사하면서 사실상 군사적 옵션은 예고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시리아 아사드 정권을 화학무기 공격의 배후로 지목했고, 미 국방안보라인은 군사적 카드 검토에 들어갔다.

양대 축인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과 허버트 맥매스터 미 국가안보보좌관은 수차례 접촉하며 최적의 카드를 논의했다.

다음날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선임급 멤버들을 소집했고, 이 자리에서 매티스 국방장관은 세 가지 옵션을 보고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한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세 가지 옵션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고, 이 가운데 두 가지 방안에 초점을 맞추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최종 결정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장소인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내려졌다.

이날 오후 트럼프 대통령은 마라라고로 향하는 전용기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시리아에서 일어난 일은 정말로 엄청난 범죄 중 하나”라며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공습을 시사했다.
만찬장서 악수하는 트럼프와 시진핑
만찬장서 악수하는 트럼프와 시진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만찬장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2017-04-07 08:49:14
마라라고에 도착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종 의사결정을 위해 NSC 핵심 인사들을 다시 소집했다. 워싱턴D.C.에 머물던 당국자들은 화상회의로 참여했다.

‘상당히 오랜 논의’ 끝에 트럼프 대통령은 미사일 공격을 승인했다.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만찬을 시작하기 직전이었다.

맥마스터 국가안보보좌관은 기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의 만찬을 앞두고 NSC인사들과의 회의를 거쳐 취임 이후 가장 중대한 군사작전을 명령했다”고 전했다.

미 동부시각 6일 밤 8시40분.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지중해에 있는 2척의 군함에서 시리아의 공군 비행장을 향해 59발의 토마호크 크루즈 미사일이 발사됐다.

공격은 4분여간 이어졌다. 화학무기 공격을 실행한 것으로 알려진 시리아 홈스 주에 있는 알샤이라트 공군기지가 타깃이었다.

한 당국자는 뉴욕타임스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시된 세 가지 옵션 중에서 상대적으로 제한된 목표(more limited end)를 겨냥하는 카드”라고 설명했다.

현지에 파견된 미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원거리 원점 타격’을 선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NBC방송은 시리아 전투기 무력화, 방공망 타격, 원거리 공격, 화학공격의 원점타격 등을 가능성있는 선택지로 꼽았다.

당시 만찬 행사에 참석 중이던 시진핑 주석에게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시리아 공격 사실을 귀띔했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시리아 공격 개념도
시리아 공격 개념도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하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는 정상간 별도의 통보가 없었지만, 추가적인 무력충돌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러시아 국방당국자에게 사전 통보가 이뤄졌다.

동시에 워싱턴D.C.에서는 백악관과 행정부 당국자들이 공화당 소속 폴 라이언 하원의장을 비롯해 민주-공화 양당의 핵심 인사 20여 명에게도 별도로 시리아 공격 계획을 통보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