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만달러 어렵네’…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7천561달러

‘3만달러 어렵네’…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7천561달러

입력 2017-03-28 09:14
업데이트 2017-03-28 1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또 3만달러 못 넘어…작년 성장률 2.8%로 속보치보다 0.1%p 올라총저축률 35.8%, 17년 만에 최고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천달러대에 머물렀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8%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천561달러(3천198만4천원)으로 전년(2만7천171달러)보다 1.4%(390달러) 늘었다.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소폭으로 늘었지만 또다시 3만달러 달성은 무산됐다.

이로써 2006년 2만795달러로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하고 나서 10년째 3만 달러 고지를 밟지 못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보통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그동안 1인당 GNI 3만 달러는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기준으로 인식돼왔다.

그러나 잠재성장률 하락 등 성장세가 약화되면서 3만 달러 진입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여기에 환율도 1인당 GNI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줬다.

작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160.5원(매매기준 환율)으로 전년보다 2.6% 상승했다.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달러화 환산 규모가 줄어든 것이다.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2015년보다 4.0% 늘었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천632달러로 2015년(1만5천487달러)보다 0.9%(145달러) 늘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지표로 꼽힌다.

1인당 PGDI를 원화로 계산하면 1년 전보다 3.5% 증가했다.

물가 등을 고려한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지난해 4.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제유가 하락 등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 GDP 성장률(2.8%)을 웃돌았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은은 지난해 GDP 성장률 잠정치를 2.8%로 발표했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0.1% 포인트 상향조정됐다.

특히 작년 4분기 성장률이 0.4%에서 0.5%로 올랐다.

2015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잠정치보다 0.2% 포인트 높은 2.8%로 집계됐다.

한은은 GDP 성장률 수정이 건설업 통계 등 각종 기초자료를 추가로 반영한 결과라고 밝혔다.

지난해 GDP 성장률을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이 10.5%나 됐고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각각 2.3%를 기록했다.

GDP 성장률은 2011년 3.7%에서 2012년 2.3%로 크게 낮아진 뒤 2013년 2.9%, 2014년 3.3%로 올랐지만 2015년부터 2년 연속 2.8%에 그쳤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천637조4천억원으로 2015년보다 4.7%(733억원) 늘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8%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소득으로 지출하고 남은 돈이 많이 늘었다는 의미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브리핑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소비지출 비중이 하락 추세를 보이면서 총저축률이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간총저축률은 28.0%로 0.6% 포인트 떨어진 반면, 정부총저축률은 7.8%로 0.8% 포인트 올랐다.

정부총저축률은 2011년(8.0%)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다.

가계순저축률은 8.1%로 2015년과 같은 수준이고 국내 총투자율은 29.3%로 0.4% 포인트 상승했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키는 노동소득분배율은 64.0%로 1년 전보다 0.8% 포인트 올랐다.

가장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2010=100)는 1.8% 올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